본문 바로가기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학, 심리학, 인간관계 정리 생활지도와 상담 요약 정리 9. 우리나라 생활지도의 발달

반응형

9. 우리나라 생활지도의 발달

해방 후 미국의 영향
- 민주주의 교육 도입
- 아동에 대한 이해 중시


1) 도입과 혼란의 시기


♣  1945년 해방 이후 John Dewey의 아동중심교육 사상의 영향을 받은 새교육운동 보급
- 생활지도 개념이 들어옴
- 아동 복지, 인간성 존중, 청소년의 개인-정서-사회적 적응 및 발달 중시
♣  1957년 심리측정 운동 도입
- 중-고등학교용 간편지능 검사 표준화
- 심리검사에 대한 과신
♣  1957년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의 전문적 상담교사교육 실시
- 최초의 생활지도와 카운슬링 운동
- 서울시 교육위원회, 문교부 중앙교육연구소의 상담교사 교육
- 비지시적 상담이론 도입


2) 개념의 모색기


♣  1960년대 중반 이후 카운슬링 토착화를 위한 노력
- 대학 전문가, 중고등학교 교도교사 → 한국카운슬러협회 창설(1963년)
- 학교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교도교사 제도 실시
① 생활지도 분야: 개성지도, 학업지도, 직업지도, 사회지도, 도덕지도, 건강지도, 여가지도
② 생활지도의 기본 과업: 상담조언, 개인기록, 정보제공
생활지도의 기본 조직: 가이던스 위원회, 교도교사의 배치, 훈육부의 존속


3) 전문적 확립의 노력기


♣  1970년대 인본주의, 정신분석, 행동주의 상담 연수, 집단상담, 진로상담 참여 및 연구 활성화
♣  교도교사 제도의 법제화
- 18학급 이상의 중등학교에 교도주임을 둔다는 규정 신설
- 학교상담자의 전문성 공식화
♣  교과지도 중심 교육과 생활지도 교육의 불균형 존재


4) 확산기


♣  1980년대 생활지도 및 상담의 저변 확대
- 중고등학생들의 교복 및 두발 자율화 이후 생활지도 및 상담에 대한 관심과 수요 급증
- 1985년 서울특별시 교육 연구원의 상담자원 봉사자 연수 → 각급 학교
- 정부기관, 사회단체의 관심
- 한국청소년연맹, 한국청소년선도회, 가출청소년찾기본부, 사랑의 전화 등 상담실 개설

- 상담 전문가들의 학술활동
- 한국상담심리학회 발족(1987년)


5) 제도적 확립기와 성장


♣  1990년대 이후 전문상담교사양성제도, 상담 관련 학회 창립, 청소년상담사 양성제도 등 확립
♣  전문상담교사 양성제도
- 1990년 각 시도 교육위원회에 진로교육연구부 개설
- 6차 교육과정에 진로직업교과 개설
- 교도교사 → 진로상담교사(1990년대 초) → 전문상담교사(1999년)
- 전문적 상담교육, 전문상담양성과정에 초등과정 설치
♣  상담관련 학회 설립
-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상담심리학회’ (2004년 명칭 변경)
- 한국진로상담학회
- 한국집단상담학회
- 한국상담학회
♣  청소년 상담
- 각 시,군에 청소년 상담실 설치(1990년대)
- 청소년기본법 22조 1항: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실시(2000년대)
- 학교폭력 문제 등 대처 위해 학교 전문상담교사의 배치와 상담실 설치 의무화(2004년)
- 전문상담 자격 제도의 수정: 전문상담교사 1급. 2급(신설), 전문상담순회교사 신설
- WEE 프로젝트 구축(2009년)
① Wee Class: 모든 학생 대상, 부적응 조기발견, 예방 및 적응력 지도
② Wee Center: 위기 학생 대상, 전문적 진단 및 평가, 상담 및 치료 서비스 제공
Wee School: 고위험군 학생 대상, 집중 상담 서비스 제공, 장기 치료 서비스 제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