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대표적인 정신장애 진단 분류체계
1) 미국정신의학회의 DSM 체계
♣ DSM은 각 정신장애를 정의하는 증상들로 구성된 진단기준에 입각하여 그 기준을 만족시킬
경우에 특정 정신장애로 진단하는 범주적인 분류 체계
♣ DSM 진단체계는 특정 장애의 본질적인 특성들을 기반으로 하여 경험이 풍부한 임상가들의
기술로부터 시작되었음
♣ DSM에는 각 장애별로 진단기준이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고, 감별진단을 위한 지
침도 자세히 제공함으로써 진단자 간의 진단 일치도를 높였음
(1) DSM-I (1952)
♣ 기본적으로 DSM은 질병의 의학적 모형을 따름.
♣ DSM-I은 1952년에 크레펠린의 정신의학분류법에서 유래됨
♣ 상당히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과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특정장애의
증상, 징후, 생애경과를 도출하는 기술적 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졌음
(2) DSM-II (1968)
♣ 세계보건기구는 정신장애 진단에 대한 전 세계적으로 합의된 체계를 만들고자 국제위원회를 구성하여
ICD-8(1965), ICD-8a(1968)를 출판하였는데, ICD-8a의 미국판이 바로 DSM-II. DSM-II는 11개
영역의 182개 정신장애를 수록하였고, 불안장애, 우울장애, 성격장애 부분이 확장되었음
(3) DSM-III (1980)
♣ DSM-III에서는 정신역동을 근간으로 하는 DSM-II로부터 급진적인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각
정신장애를 더욱 구체적이고 다양하게 범주화하였음
♣ 정신장애에대한병인론에서중립적이고기술적인진단준거를제시하였고, 진단체계의임상적유용성을강조하였음
♣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면 당시 정신장애에 대한 다양한 치료 약물들이 개발되고 있었고, 이와
맞물려 정신의학에서 의학적 관점을 중시하는 신크레펠린학파가 득세함에 따라 정신의학
패러다임이 변화하게 되었음
♣ DSM-I/II의 출판 목적이 정신 병리에 대한 진단명을 통일하여 치료진 간에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면, DSM-III의 경우에는 정신의학에서의 과학적인 관점을 추구하는
것이었음. 따라서 DSM-III에서는 DSM-I/II가 장애에 대해 증명되지 않은 가설을 토대로
하면서 조작적 정의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임상가와 문화마다 진단이 의미하는 경우가
다르다는 점을 비판하였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진단자들 간에 진단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각 장애의 진단기준을 명백하게 기술적으로 제시하였음. 이에 더해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전형적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감별진단, 장애의 발병이나 경과 등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명시하였음
♣ DSM-III는 다축진단체계를 도입하여 정신장애에 대한 체계적 진단 시도
축1 | § 임상적 장애 및 임상적 주의를 필요로 하는 상태 |
축2 | § 성격장애 및 정신지체 |
축3 | §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
축4 | § 심리사회적 및 환경적 문제 |
축5 | § 전반적 기능평가 척도(GAF) |
♣ 1987년에는 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갱신하여 진단기준을 개정한 DSM-III-R이 출판.
DSM-III의 다축체계나 진단기준의 사용, 정신장애의 주요 구성은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수면장애와 흡입제 남용/의존/중독과 같은 새로운 진단범주를 포함하였고, 아동기 혹은
청소년기 정신분열성 상태를 삭제하는 등 상당한 변화가 이루어졌음
(4) DSM-IV (1994)
♣ 1992년 출판된 ICD-10과 호환을 이루기 위해 DSM-IV가 출판될 필요성이 제기되었음
♣ DSM-IV는 DSM-III와 마찬가지로 다축진단체계와 기술적인 접근법을 채택하였으며,
DSM-III에서 제시된 의문점에 대한 경험적 증거들 보완
♣ 2000년에 체계적인 문헌개관 및 현장연구를 포함한 경험적 연구 결과들을 갱신하여 DSM-IV-TR이
출판되었는데, 이때 진단기준 내용에서의 변화는 없었지만 장애와 관련된 특징에 대한 정보, 문화와
연령, 성별특징, 장애의 예상되는 경과, 유명률, 가족 양상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었음
<DSM-IV와 DSM-5 진단범주의 변화>
(5) DSM-5(2013)
① ① DSM-5의 개정배경
- 정신장애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의 반영
정신 병리, 평가 및 진단, 치료 연구결과 등의 축적에 따라 정신장애에 대한 최신
의견들을 반영할 필요 발생. 특히 임상분야에서 신경생물학(Neurobiology)의 중요성이
확대되었음
- 범주적 진단체계의 한계
범주적 분류는 이상행동과 정상행동을 명확히 구분하면서 이들 간의 질적인 차이를
가정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음. 그로 인해 몇 가지 증상들을 공유하는 공존질환
(comorbidity)에 대한 더욱 정확하고 효율적인 진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
- 사용자 접근성 및 임상적 유용성의 고려
진단분류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적 연구결과들에게 근거하되,
이전 버전들과의 연속성을 유지함으로써 실제 임상 현장에서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진단체계가 요구되었음
② ② DSM-5의 일반적인 개정사항
- 개정판 숫자의 변경
기존의 DSM-Ⅳ-TR 까지는 개정판의 숫자를 로마자로 표기. 그러나 DSM-5에서는
로마자 V가 아닌 아라비아 숫자 5 사용. 이는 새로운 임상적 발견에 따른 개정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있음
- 다축체계의 폐지
DSM-Ⅳ에서 사용하는 다축진단체계가 실제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지 못하며, 진단의
객관성 및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에 따라 이를 폐지. 다만, 이는 표기 방식을 폐지하는
것일 뿐 내용 전체를 폐기한 것은 아니며, 일부(특히 축 3의 경우)는 진단 내에
포함시키거나 진단별 예로 전환하였음
- 차원적 평가의 도입
범주적 분류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차원적 평가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이른바
‘하이브리드 모델’ 제안. 차원적 분류는 이상행동과 정상행동의 부적응성에 대한 정도
차이일 뿐 이들 간의 질적인 차이를 인정하지 않음
2) 세계보건기구(WHO)의 ICD 체계
♣ ‘국제질병분류체계(ICD)’는 각 나라의 사망원인에 대한 통일된 용어의 필요성에 따라
처음으로 정리되었음
♣ 1900년에 ‘국제 사망원인 목록’이라는 이름으로 초판이 출간되었고, 이후 1938년까지 대략
10년마다 ICD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ICD-6(1949)에서 최초로 정신질환편에 몇 가지
정신장애를 포함하였음
♣ WHO는 ICD-11 개정안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임상적 유용성과 전 세계적 적용 가능성에
특히 초점을 두었음. 만약 ICD-11의 정신장애 분류를 실제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면 임상
현장에서는 표준화되고 조작적으로 정의된 범주가 아닌 비표준화된 개념을 사용하게 될 것이며, 그 결과 정확한 평가, 전 세계적 건강 통계나 정책, 건강 프로그램을 위한 타당한
자료를 얻을 수 없게 될 것임. 따라서 대부분의 ICD-11의 변화는 진단범주의 임상적
유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음
'임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8. 진단 분류체계의 신뢰도 및 타당도 (4) | 2023.11.09 |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7. 불안장애의 진단과 성격장애의 치료방법 (5) | 2023.11.08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5. 정신장애 분류 방식 (4) | 2023.11.06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4. 정상과 이상행동의 판단 기준 (7) | 2023.11.05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3. 상관법 (5) | 2023.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