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8. 진단 분류체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반응형

18. 진단 분류체계의 신뢰도 및 타당도

1) 신뢰도(reliability) : 측정의 일관성(consistency)을 지칭


(1) 평정자간 신뢰도(inter rater reliability)
2명의 독자적인 평가자가 그들이 파악한 것에 대해서 서로 일치하는 정도
(2)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  어떤 사람을 두 번 관찰하거나 동일한 검사를 두 번 받게 해서 점수가 얼마나 비슷하게
나오는지 그 정도를 재는 것
(3) 동형 신뢰도(alternate-form reliability)
♣  동일한 검사를 두 번 실시하기보다는 약간 다른 유형의 두 가지 검사를 사용하는데, 이는
아마도 수검자들이 처음 검사 시에 응답한 내용을 기억하고 두 번째 검사를 할 때도
일관되게 응답하려고 할 것 이라고 염려될 때에 그럴 수 있음
(4) 내적 일관성 신뢰도(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  검사 문항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
예)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불안 설문지의 문항들이 진짜로 불안을 재는 것이라면, 설문지
상의 문항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 즉 서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이 위협적인 상황에서는 입이 마른다고 보고하는 경우에는 근육 긴장도
마찬가지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둘은 불안의 공통된
특징이기 때문이다


2) 타당도(validity)


♣  복잡한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어떤 척도가 재려고 의도한 바를 진짜로 재는지에 관련된 것


(1)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 어떤 척도가 원래 의도한 영역을 적절하게 표집하는지를 지칭.
예) 사회불안을 평가하고자 하는 검사라면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 감정을 묻는
문항들이 들어있어야 한다. 사회불안과 관련된 모든 증상을 물어보는 질문이 들어있으면
내용 타당도가 뛰어난 것이 된다. 물론 특정 용도를 위해서는 검사의 내용 타당도가
형편없을 수도 있다. 이를테면 해당 검사 속에는 사회적이지 않은 상황에서의 불안을 묻는
설문이 들어 있지 않은데, 우리가 높은 곳이나 뱀에 대한 특정 공포증을 평가하려고 한다면
이 검사는 그 내용 타당도가 형편없는 것이 될 것이다.

 

(2) 준거 타당도(criterion validity)
♣  어떤 척도가 다른 척도(준거)와 예상되는 방식대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조사해서 가늠하게 됨
① 동시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 두 변수가 시간상으로 같은 시점에서 측정되었다면, 이렇게 해서 산출된 타당도
- 예) ‘뒷부분에서 우리는 우울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지는 지나치게 부정적인
사고를 재는 한 척도에 대해서 소개할 것임. 이와 같이 부정적 사고를 재는 척도의 준거
타당도를 확립하려면,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이 우울증이 없는 사람들에 비해서 이 검사의
점수가 더 높다는 것을 보여주면 될 것이다. 이 예에서 준거는 우울증의 진단임. 동시
타당도를 보여주는 또 다른 방법은 부정적인 생각의 측정치가 우울증 증상의 측정치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
② 예측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 해당 척도가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측정된 다른 변수를 예측하는 정도
- 예) IQ검사는 원래 장차의 학업수행도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부정적 사고를 재는 척도는 장차 우울증에 걸릴 것인지 여부를 예측하는 데 사용될 수 있겠다


(3)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
♣  어떤 검사가 단순히 또는 겉으로 관찰되지 않는 어떤 특징 또는 구성개념을 재는 것으로
해석하고자 할 때 관련됨(Cronbach & Meehl, 1955; Hyman, 2002).
♣  구성개념이란 추론된 속성으로서, 불안 또는 인지왜곡. 예를 들어 불안 성향을 재는
설문지를 생각해보자. 이 설문지가 구성 타당도를 갖추고 있다면, 이 설문지 검사 점수가
각기 다른 사람들은 불안성향의 정도가 달라야 한다. 설문지의 문항이 불안해지는 경향에
대한 것으로 보인다고 해서(문항의 예:“나는 많은 상황에서 불안해지는 것을 알고 있다.”),
이 검사가 불안성향이라는 구성개념에 대한 타당한 척도인지는 확신할 수 없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