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교육심리학 이론 정리 5.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반응형

5.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Freud이론 비교


1) Freud 이론에 대한 평가


정신분석적 성격발달이론은 인간의 무의식이라는 새로운 심리학적 영역을 개척하여 인간의
본질을 더욱 깊게 파악할 수 있는 틀을 마련
●  정신분석학은 실험 등의 과학적 방법으로 타당성을 검증할 수 없으므로, 과학적 사실이 아니
라 신념에 가깝다. 무의식, 초자아, 원초아 등의 개념은 과학적인 관찰이나 입증이 불가능하
다는 것
●  성격발달이 5세 전후, 즉 남근기에 완성된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 청소년기, 성인기, 노년기
에도 인간으로서 성장과 발달은 충분히 가능
●  인간의 본성을 너무 부정적으로 봄
●  정신분석학은 무의식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원인이 된다는 입장을 취함. 하지만 인간은 자신
의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이 가능한 존재이기 때문에 동일한 원인이 주어져도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비판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Erikson은 Freud의 제자로 정신분석학의 기본 입장을 이어받았음
●  생물학적인 욕구가 성격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는 보았지만 Freud의 관점과 다
른 부분도 있음

 

⑴ Erikson과 Freud이론의 비교
●  Freud는 오로지 id의 작용에만 관심을 가졌지만 Erikson은 ego의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음
- Freud는 무의식 속에 잠겨 있는 본능의 충족 여부가 성격형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지만 Erikson은 자아가 성격발달의 주체로서 주위 사람이나 환경과의 다양한 상호작
용을 통해 각 단계마다 등장하는 다양한 위기들을 극복하면서 적극적으로 성격형성을 주
도한다고 보았음
●  Freud는 성격형성 과정에서 부모의 역할을 중시했지만 Erikson은 심리사회적 환경이 중요
하다고 보았음
●  Freud의 발달단계는 청소년기에서 종료되고, 특히 남근기에 이미 성격의 토대가 결정된다고
보았지만 Erikson의 경우는 유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는 생애 전체에 걸쳐 발달이 이루어진
다는 전생애 발달의 관점을 제시하였음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2 Erikson의 성격발달 단계


1) Erikson의 성격발달 단계


●  인간의 발달단계마다 극복해야 할 발달적 위기가 있는데 그 위기를 극복하면 긍정적인 자아
특성이 생기고, 그렇지 않으면 부정적인 자아 특성이 생긴다고 보았음
●  인간은 양 극단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고, 때때로 부정적인 특성도 어느 정도 활용하는 것이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보았음.


* 8단계
⑴ 제1단계: 기본적 신뢰감 대 불신감, 0-1세
●  이 단계에서 신뢰감이 자리 잡지 못하면 그 틈새로 불신감이 밀려듦
●  어머니의 돌봄이 일관성과 신뢰성, 예측성을 갖출 때 유아의 내면 깊은 곳에서 신뢰가 싹트
게 됨. 반면 어머니의 보호나 양육이 일관성이 없어서 예측할 수 없고 믿을 수 없게 되면 불
신감이 생김
●  이 단계의 발달적 위기를 원만히 해결하면 희망이라는 심리사회적인 능력이 생김
●  무작정, 무한정의 신뢰는 능사가 아님. 건강한 성격발달을 위해서는 신뢰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정 수준의 불신감도 필요.

 

⑵ 제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의심, 2-3세
●  제 힘으로 서고 걷고 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유아는 스스로 외부 세계를 탐색하려고
하고, “내가” “내 것”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 이것이 바로 자율성 욕구
●  부모는 무엇이든지 스스로 하려고 시도하는 유아에게 자율성 욕구가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방식으로 적절히 방출되도록 이끌어야 함.
●  심리사회적 위기를 잘 극복하면 의지력이 생김

 

⑶ 제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 4-5세
●  언어능력과 운동능력이 현저하게 발달하면서 아동은 또래들과 사회적 놀이에 참여하고, 그런
경험을 통해 아동은 자신에게 목적이 있음을 깨닫는다. 즉, 무엇을 할 때 미리 계획을 세우
고 목표를 설정하며, 이를 달성하려고 노력하게 되는데, 이런 과정에서 주도성이 발달
●  때때로 호기심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주도할 수도 있는데 이럴 때 부모가 과도하게
통제하면 좌절감과 함께 죄책감을 느끼게 됨

 

⑷ 제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 6-11세
●  학령기에 해당하는 이 시기의 주요 발달과제는 아동이 자기가 해야 할 일을 성실하게 해내
는 것인데, 이런 과정에서 근면성이 발달
●  해야 할 일에 대해 스스로 능력이 없음을 인식할 때, 열등감이 생김
●  발달적 위기를 무난히 극복하면 자신감이 능력이 발달

 

⑸ 제5단계: 자아정체성 대 역할 혼란, 청소년기, 12-20세
●  핵심적인 발달과제는 자아정체성을 형성하는 일
●  어린 시절의 불행한 경험이나 현재의 사회적 여건 때문에 정체감 형성에 실패하면 정체성
혼란을 겪게 됨.
●  발달적 위기를 잘 넘기면 성실성이 발달

 

⑹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성인 초기, 20-35세
●  취업과 결혼이 기다리고 있는 이 시기에서는 성인으로서, 사회인으로서, 직장인으로서 자신
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배우자나 동료, 주변 사람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느냐
가 중요한 관건
●  진정한 친밀감은 자아정체성을 토대로 하여 형성
●  발달적 위기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면 사랑의 능력이 생김. 사랑은 자신을 타인에게 관여시키
고 이 관여를 유지하는 능력

 

⑺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 장년기, 35-60세
●  자녀양육과 직장생활
●  가정과 직장에서 자신의 역할과 소임을 다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는 것, 이것이 바로 생산성
●  생산성이 결핍되면 성격은 침체되고 인생은 황폐
●  이 시기의 발달적 위기를 극복한 사람은 남을 배려할 줄 암

 

⑻ 제8단계: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노년기
●  인생의 마지막 단계
●  이 시기에는 앞으로 나아가는 대신 지난날을 돌아보게 됨
●  지나온 삶을 의미 있게 여기고 만족감을 느끼면 자신의 삶이 완성되었다는 느낌을 갖게 될
것인데 이것이 자아통합감
●  반면 삶을 회고하였을 때, 후회와 아쉬움만이 가득하면 헤어나기 힘든 무미와 허무의 나락으
로 하염없이 빠져들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절망
●  이 시기의 발달적 위기를 극복하면 지혜를 얻게 됨


2) Erikson의 성격발달이론의 교육적 활용


●  취학 전 아동의 경우, 자율성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기회(놀이, 실험)를 제공. 수용할
수 없는 행동을 하더라도 수치심을 주지 않도록 함
●  초등학생의 경우,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여 근면성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중
고등학생의 경우 자아정체성의 확립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지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