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인관계심리학

쉽게 정리한 인간관계, 상담심리사 등 대인관계심리학 정리 60. 인간관계 대안찾기

반응형

60. 인간관계 대안찾기

1) 비대면 시대의 인간관계 특징


(1) 인간관계 다이어트
찐친과 겉친구 구별하기: 친구의 양극화
♣  시간/감정/돈 낭비하지 않기
- 원격교육, 비대면 화상 회의 등 온라인 시스템 활용에 대한 적응이 됨
- 일부에서는 비대면이 가지는 효율성을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하겠다고 함
♣  진정한 친구 검열하기
- SNS를 활용한 만남이 더욱 적극적으로 변해가면서 지금껏 생각하지 못했던 관계에 대한
객관적 성찰을 통해 진정한 교류가 가능한 친구를 사귀게 됨


(2) 단계적 관계 교류의 퇴색
♣  우연+새로운 만남은 없음
♣  인간관계로 인해 크고 작은 상처 경험이 최소화됨: 과연 이전의 인간관계처럼 서로에 대한
신뢰를 우선 구축하고 친밀성을 갖는 단계로 발전하는 게 가능해지는 것인가?
♣  비대면 첫 만남 = 끝
- 일회성 관계로 끝나는 경우가 많음(예: 한 학기 동안 얼굴 1회 봄)


(3) 관계경험 부재
♣  생활 및 경험의 공간은 집
- 집에서 할 수 있는 취미, 인테리어, 각종 어플을 통한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 등이 증가
♣  돈 벌기 바쁜데 어떻게 사람을 만나나요?
- 아르바이트 축소, 가정 경제의 어려움 등
♣  억지와 가식의 대면이 사라진 편안함
- 싫은 사람을 억지로 만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음


2) 인간관계 거리두기의 역설


(1) 관계의 중심이동
♣  타인 나 중심으로
- SNS 사용 증가로 남의 게시물만 보며 부러워만 하기보다는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중(시간이 많기 때문에 타인의 시선에 얽매였던 의존적 심리를 극복하
는 시간이 되어버림)
♣  포모(FOMO)에서 조모(JOMO)로: FOMO=Fear of Missing Out, JOMO= Joy of Missing
Out
-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인맥관리의 강박에서 벗어나 디지털 디톡스를 즐김
- SNS 내 다양한 취미활동과 혼자 할 수 있는 체험에 대한 만족감이 더 높아진 상황
♣  확장형 실속형으로
- 내향형에 속하는 사람들의 경우, 비대면 인간관계 중심 상황이 관계 눈치 보지 않고 정리
할 수 있는 명분이 있어서 선호함


(2) 마스크의 나비효과
♣  첫인상도 없고 기억에 남는 사람도 없다
- 사람을 기억하는 방식과 내용이 달라짐
- 전체적으로 인상 인식할 수 있는 정보가 거의 없어지게 됨

♣  외모 경쟁력의 퇴장과 눈빛
- 마스크로 인해 외모에 대한 관심과 부담이 조금 줄어들고 편견에서 자유로워짐
(예: 화장하고 반드시 출근 등)
- 유일하게 드러나는 눈빛이나 눈웃음을 통한 감정 및 정보전달에 집중하게 됨
♣  비대면 시대의 호감형 인간들
- (이전: 외모 중심으로 첫 호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음)
자기 삶을 잘 가꾸는 인성과 태도가 훌륭한 사람에게 호감을 많이 느낌
- 금전적 능력과 인간적 매력을 갖추고 삶을 여유 있게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관심


(3) 공감의 위기와 기회
♣  감정피로 X, 감정휴식 O
♣  말의 상실과 글의 잔치
- SNS 사용이 증가하면서 글 중심의 대화와 정보전달이 더 많아짐
- 신경 쓰지 않았던 한글 맞춤법,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어 선택에 있어서 신
중함이 증가됨
- 자연스럽게 목소리로 전달되는 말, 대화능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있음
♣  스마트폰만 있으면 OK
♣  기프티콘, 이모티콘이 만드는 공감의 세계
- 이전에 비해 자신들이 표현하고 싶은 감정이나 공감 행위를 전달하고자 이모티콘이나 기
프티콘을 구입하는 것에 거리낌이 사라짐


3) 대안은 없는가


(1) 개방적 딥택트
♣  성공적 딥택트의 의미
- 언택트
딥택트로의 변화과정
- 진정성 있는 관계, 감정소비하지 않게 하는 사람들과의 딥택트를 중시하게 됨
- 소수의 친밀한 관계에 대한 유지와 관리가 강조되면서 동시에 폐쇄적인 관계가 되지 않도
록 개방성을 잃지 않아야 함(성공적 딥택트)
♣  사소함의 미학
- 비대면 만남이라도 글이나 이모티콘에서 전해지는 숨겨진 감정을 파악하고 상대가 외로움
이나 부정적 느낌을 준다면 적극 관심을 보여야 함
♣  적극적 소통과 자기성찰
- 개방적 딥택트 관계 유지를 위해서 직접 보고 관계를 맺지 않더라도 상호 간 신뢰를 구축
해야 함
- 신뢰 구축 방법: 시선이나 행동 등을 대체할 수 있는 적극적이고 깊은 소통이 중요
- 온라인/비대면이라도 상대 반응을 무작정 기다리기보다는 더 많은 관심과 대화를 시도
- 다양한 온라인 모임에 참여하면서 토론기술과 대화하는 법을 배워야 함


(2) 관계균형 만들기
♣  건강한 개인주의와 절실한 소속감
- 개인에게 집중하는 시간은 이기적인 시간이 아닌, ‘건강한 개인주의’
- 동시에 소속되고 싶거나 스스로 선택한 조직 내의 소속감에 대한 열망도 강해짐
♣  선택과 집중의 자기노출
- (SNS나 온라인상에서는) 긍정적으로 보이는 모습만 보여줌
- 친밀한 관계에서는 온라인상에서도 다양한 모습을 보여줌
♣  관계 관리의 이분법

- 코로나 이후 양적인 인간관계보다 질적 인간관계가 중요시되면서 두 가지 라인으로 연락
처를 관리하는 사람도 증가함(개인 친분 vs 회사 사람)
- 연락처 및 SNS 리스트를 정기적 업그레이드
♣  배타성의 극복과 다양성 인정
-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다 보면 편협해지거나 배타적이 될 수 있고, 조금
이라도 자신과 맞지 않으면 쉽게 정리해버리는 등 획일적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음
- 코로나 이전 대비 훨씬 늘어난 혐오적 표현과 폭력적 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다양
성을 수용하는 것이 과연 옳기만 한 것인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함


(3) 공감과 소통역량 강화
♣  관계 유지를 위한 디지털 기술의 습득
- 특히, 감정대체, 사회적 참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구와 언어외적 측면의 콘텐츠
를 공유하고 가상만남에 참여하면서 결핍되어 가는 사회성을 보완해야 함
♣  공감의 상대를 찾는 지속적 탐색
♣  다양한 소통 역량 기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