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인관계심리학

쉽게 정리한 인간관계, 상담심리사 등 대인관계심리학 정리 59. 코로나로 인한 대인관계 변화

반응형

59. 코로나로 인한 대인관계 변화

1)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잡은 연구를 소개하는 이유


최인철(2020) 연구: 다양한 연령층 중 대학생들의 행복과 삶의 만족도 수준이 가장 낮음
♣  5인 이상 집합금지, 여가 및 야간활동 제한으로 경제적 수입 감소, 여행을 통한 회복탄력성
유지 제약, 감염에 대한 두려움, 국내외 경제상황으로 인해 취업기회와 진로개발 축소 등으
로 부정적 감정(스트레스, 무기력, 우울, 동기 감소, 만족감 최저 등) 수준은 더욱 높아지게

♣  대학 내 각종 행사가 사라지게 되었고, 선후배 만남은 축소되었으며 대부분 비대면 강의로
전환되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을 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짐
학교에서의 만족감 및 공동체
의식이 줄어들었음
♣  대학생 시기는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적극적으로 맺으며, 기존 관계를 유지하고 사회적 지지
기반을 마련하는 등 가장 건강한 관계를 맺어야 하는 시기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생 집
단의 위험한 행복 수치는 장기적 사회적 문제가 되므로 분석해보고자 함


2) 대인관계 변화 유형 및 대처방법


(1) 연구방법: 주관식 설문, COR-M 자료분석 절차를 따라 영역, 범주구성, 코딩 및
빈도분석 절차를 통해 자료분석 실시

 

(2) 연구결과

♣  코로나로 인해 대인관계의 지지체계가 소홀해짐으로써 우울, 무기력, 동기 감소, 불만족 등
을 경험하게 됨(참고: 일반적으로 대인관계 속 지지를 통해 적응력 강화 및 긍정적 감정을
경험함)
♣  스트레스 상황에서 효율적인 대처방안을 지니고 있을 때, 심리적 안정감과 안정적 적응을 잘
할 수 있기 때문에, 제한된 상황 속에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들은 심리적으로 안정감
을 느끼도록 해주었을 것임
♣  기존의 친한 관계를 맺은 사람들과의 관계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점은 금방 코로나 상
황에 적응했음을 시사함
♣  집 밖에 못 나가는 상황 속 집에 있으며 혼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자기 자신에 대한 생각과
새로운 취미생활을 갖게 되었다는 점은 자기 자신과 기존의 관계 본질에 충실하게 접근했다
고 해석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