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심리학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교육심리학 이론 정리 22. 평가의 종류

반응형

22. 평가의 종류

1 평가대상 및 평가기능에 따른 평가의 종류


1) 교육평가
학생의 학습과 행동 및 여러 교육조건을 교육목적에 비추어 측정하고 판단하는 일
♠  교육과 관련된 모든 것의 양, 정도, 질, 가치, 장점 등을 체계적으로 측정하여 판단하는 주관
적 행위로서 교육목적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행위


⑴ 교육평가의 목적
♠  학생의 학업성취도 확인
♠  교수-학습 상황의 개선
♠  교육정책 도입 및 변화
♠  교육 이론의 개발
♠  교육의 질 향상


2) 교육평가의 종류


⑴ 평가대상에 따른 분류
♠  교육평가는 평가 대상에 따라 학생평가, 교사평가, 학교평가, 교육과정평가, 교육정책평가로
나열 할 수 있음
① 평가주체가 누구인지의 여부
- 학생평가 : 교사가 평가자(학생의 능력이나 특성의 가치를 판단)
- 교사평가, 학교평가, 교육과정평가, 교육정책평가 : 국가가 평가자(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확인하고자 실시)
② 인적대상과 물적대상에 따른 분류
- 인적대상 교육평가 : 학생평가, 교사평가
- 물적대상 교육평가 : 학교평가, 교육과정평가, 교육정책평가


⑵ 평가기준에 따른 분류
♠  규준지향평가와 준거지향평가로 구분
① 규준지향평가
- 피험자들 간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
- 규준은 내가 받은 점수가 어느 위치인지 비교할 수 있도록 미리 만들어 놓은 표라고 할 수 있음
- 상대적 서열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실제 점수가 주는 정보는 풍부하지 않음.
- 상대평가
② 준거지향평가
- 교과별 내용에 대해 수준별 기술을 성취 준거로 미리 설정하고, 학습자가 이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
- 절대평가

 

⑶ 평가기능에 따른 분류
① 진단평가
- 교육과정이나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전에 실시
- 선수과목의 성취정도 파악이나 학습자의 능력 수준을 구별하는 기능
-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수준별 학급편성에 사용
- 교사 입장에서는 본인이 수업해야 할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하여 수업설계에 고려
② 형성평가
- 교육과정을 수정할 여지가 있을 때 실시하여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평가
- 계속 진행되는 수업에서 중요한 개념에 대해서 학습자가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진도를 계속해서 진행할지, 복습이 필요한지, 교과 수준 조정이 필요
한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
③ 총괄평가
- 교육과정이 종료하는 시점에 실시하고, 교수자는 학습자의 성취도와 교육과정의 효율성을
파악
- 교육과정에서 기말고사는 전형적인 총괄평가


2 평가방법 및 평가시간에 따른 평가의 종류


1) 평가방법에 따른 분류


⑴ 양적평가
♠  학생들의 성취도나 잠재적 능력에 대해 수량적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서열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양적평가
♠  양적평가로 수집된 수량적 정보는 학생의 능력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  양적평가는 규준지향평가와 관련하여 평가의 객관성을 강조하는 평가에서 주로 사용
(예.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대표적인 규준지향평가)


⑵ 질적평가
♠  학생의 잠재적 능력과 성취 정도에 대해 관찰, 면담, 서술형 문항 등 비수량적 자료를 통해
평가하는 방법(예. 교육현장에서 수행평가는 질적평가로 자료를 수집하는 평가)
♠  질적평가는 자료 수집 속성상 주관적. 따라서 중대한 이해가 관련이 있는 평가는 질적평가보
다 양적평가를 더 많이 사용
♠  질적평가를 실시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주관성의 조절
♠  주관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 복수의 평가자가 평가에 참여하는 방법, 평가기준 수립, 평가
자 훈련, 질적평가 결과 분석 등을 많이 활용
♠  ∙ 질적평가는 사전에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실시해야 함

 

2) 평가시간에 따른 분류


⑴ 속도평가
♠  교육평가에 시간이 변수가 되어 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
♠  예) 운전면허 시험,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시험
시험의 당락 여부에 시간이 변수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


⑵ 역량평가
♠  시간이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
♠  정의적 영역의 평가는 대부분 역량평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