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심리학개론

(40)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4. 기억 정보 인출하기와 망각, 기억향상 24. 기억 정보 인출하기와 망각, 기억향상 1. 장기기억의 종류 2. 감각양상별 기억 저장 - 시각이나 청각과 같은 한 가지 지각시스템에서 온 정보를 파지하거나, 언어처 럼 특정한 처리시스템에서 오는 정보를 파지하는 기억 저장 - 의미기억 : 단어의 의미, 개념, 그리고 세상에 대한 사실에 관한 지식 - 일화기억 : 특정한 시간, 장소, 그리고 상황이 연합된 사건에 관한 기억. 개인적 경험 3. 외현기억과 암묵기억 - 외현 기억 (서술적 기억) ⋅자발적으로 장기기억에서 인출되어 단기 기억으로 불려올 수 있음 ⋅자발적으로 회상 가능 ⋅일화기억이나 의미기억으로 저장될 수 있음 ⋅시각이나 청각과 같이 어느 감각양상으로도 발생할 수 있음 ⋅인지학습 이후에 저장된 정보 / 인지학습은 당장 사용되지 않고 나중에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3. 기억 만들기 23. 기억 만들기 1. 장기기억 - 장기 기억 (Long-term memory, LTM) ⋅아주 많은 양의 정보를 오랫동안 저장 ⋅지속시간 : 몇 시간 ~ 몇 년 ⋅작업기억이나 외현적 행동을 안내하는 규칙뿐만 아니라 그림, 단어, 물체들의 의미가 명세한 정보와 당신이 이제까지 행하거나 학습한 모든 것들의 부호화 된 기억을 저장하고 있음 ⋅자각하려면 자각하기 전에 그 정보가 장기 기억에서 단기 기억으로 전이되어 야 함/ 정보를 타이핑해서 RAM에 입력하는 것(단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하는 것(장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 ⋅저장 용량이 너무 커서 연구자들은 아직 한계를 측정하지 못함 ⋅자극이 의미 있으려면 장기 기억에 있는 관련 정보를 활성화시켜야 함 ⋅예: ‘여섯’을 보든가 손으로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2. 기억 22. 기억 1. 기본적 기억과정 (1) 부호화 ⋅들어온 정보를 조직화하고 변형시켜서 기억에 들어갈 수 있게 하는 처리 ⋅이전에 저장된 정보들과 같이 저장되거나 그 정보들과 비교해서 저장되게 한 다. (2) 저 장 ⋅정보를 기억에 파지하는 처리 (3) 인 출 ⋅기억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하는 처리 2. 기억저장의 종류 - 기억 저장 ⋅오랫동안 정보를 보유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세포들의 집합 ⋅3가지 유형의 기억 저장 1) 감각기억(감각 저장) : 상당한 양의 지각 정보를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보유 2) 단기기억(즉시 기억) : 아주 적은 양의 정보를 잠시 동안 보관 3) 장기기억 : 아주 많은 양의 정보를 오랫동안 저장 ⋅각 유형의 기억들은 특징이 다름 ⋅지속시간 –정보가 유지되는 기간 ⋅용량 –유지되는 정..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1. 성격에 미치는 생물학적, 사회문화적 영향 21. 성격에 미치는 생물학적, 사회문화적 영향 1. 생물학적 성격이론 - Jeffrey Gray의 행동 활성화 및 억제 체계 ⋅“두 가지의 두뇌 시스템이 기질과 성격의 측면들을 설명한다.“ ▹BAS : 활성화 체계, 좌측 전두엽, 긍정, 충동, 외향 ▹BIS : 억제 체계, 우측 전두엽, 불안, 처벌, 신경증 ⋅영 향 ▹뇌 수준 : 특정 뇌 시스템을 활성화 ▹개인 수준 : 개인의 동기 및 경험에 영향을 끼침 ▹집단 수준 :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쳐 보상/처벌을 받게끔 함 2. 성격의 유전가능성 - Eysenck의 3요인 모델 1) 외향성 ▹내향적인 사람에 비해 감각 자극들에 의해 쉽게 각성되지 않음 ▹더 자극적이며 활기찬 활동들을 선호 ▹뇌파의 유형 또한 차이를 보임 2) 신경증 ▹매우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0. 성격의 특질과 요인들 20. 성격의 특질과 요인들 1. Freud의 추종자들 - 칼 융 (Carl Jung) ⋅집단 무의식의 발견 ⋅원 형 ▹집단 무의식의 구성요소 ▹인간 정신의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심리 ▹태어날 때부터 부여 ▹인간의 선험적인 조건으로 시·공간적 차이를 넘어 부모시대 때부터 반복됨 - 알프레드 애들러 (Alfred Adler) ⋅우월감의 추구 ⋅열등감 콤플렉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이 가지는 컴플렉스를 통해 오히려 그 자신이 우월해진다.” - 카렌 허니 (Karen Horney) ⋅부모-아이의 상호작용을 강조 ⋅기본 불안 ⋅특권 선망 2. Freud 이론의 비평 - 과학적이지 않음 ⋅검증이 불가능함 ⋅개념 정의가 불명확함 ⋅이론의 복잡함 - 표본이 제한적임 ⋅주로 여성 신경증 환자들 ⋅상류층 사람들 ⋅19세기..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9. 성격의 역사적 관점 19. 성격의 역사적 관점 1. 성격이란 - 다양한 시간과 상황에 걸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개인을 구별되게 하는 개인의 정서적·인지적·행동적 경향성의 집합 2. Freud : 의식의 3가지 수준 1) 의 식 - 일반적인 인식 수준 2) 전의식 - 쉽게 의식으로 올라올 수 있는 수준 3) 무의식 - 숨겨진 생각이나 욕망 수준 - 정신결정론 ⋅모든 사고, 감정, 행동 등이 모두 궁극적으로는 어떤 정신적 원인에 의한 것 이라는 관점 3. Freud : 성격의 구조 - 원초아 (id) ⋅무의식 수준에 자리잡고 있음 ⋅출생 시부터 갖고 태어남 ⋅성적 욕구 및 공격적 욕구들로 채워져 있음 ⋅쾌락원리(pleasure principle)에 따라 작동함 ⋅원초아의 본능이 방해를 받아서 위기에 처하면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8. 식욕과 성욕 18. 식욕과 성욕 1. 식욕과 성욕 - 인간의 중요한 동기 - 식욕은 인간의 결핍보상체계에 의존하는 추동 - 식욕은 뇌가 혈액 내 음식수준이 너무 낮다고 지각할 때 유발 - 뇌는 포도당, 지방산이라는 두 가지 음식 분자의 양을 파악하고 조절 - 성욕은 이런 체계에 의존하지는 않지만 삶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 2. 포만감 - 혈액 내 음식 분자의 수준에 영향받지 않음 - 음식이 소화 되기 전이나 음식 분자가 혈류로 들어가기 전에도 포만감을 느낄 수 있음 - 위장의 신경세포들에 의해 신호가 뇌에 전달되면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 3. 식욕 - 식욕은 맛과 연관되어 있다. - 전채 효과 : 뇌의 오피오이드(opioid) 물질에 의해 유발되며 맛있는 음식을 한 입 섭취하는 순간 분비된다. - 인슐린 ⋅음식 분자..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7. 정서조절, 동기와 보상 17. 정서조절, 동기와 보상 1. 공포 - 공 포 ⋅인간의 생존에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정서 ⋅뇌에서 자율신경계와 호프몬의 변화를 수반 - 공포에 대한 5가지 기본 사실 ⋅공포는 정서적 반사의 형태로 발생 가능 ⋅공포는 고전적 조건화에 의해 발생 가능 ⋅내부 심리과정은 공포에 영향을 줄 수 있음 ⋅편도체는 공포를 ‘느끼는 과정’에 직접적인 역할을 담당하지 않음 ⋅어떤 하나의 뇌 영역이 공포 혹은 특정 정서를 유발하는 것은 아님 2. 행복 - 행 복 ⋅공포와 서로 반대되는 특징을 가짐 ⋅공포는 주의의 범위를 좁히지만, 행복은 주의의 범위를 넓힘 ⋅공포는 일시적 상태, 행복은 만성적 상태 - 행복과 관련된 요인들 ⋅생활 환경 ⋅현실적 기대 ⋅사회적 지지 ⋅유전적 특성 ⋅돈 3. 정서표현 - 표현 규칙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