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기억
1. 기본적 기억과정
(1) 부호화
⋅들어온 정보를 조직화하고 변형시켜서 기억에 들어갈 수 있게 하는 처리
⋅이전에 저장된 정보들과 같이 저장되거나 그 정보들과 비교해서 저장되게 한
다.
(2) 저 장
⋅정보를 기억에 파지하는 처리
(3) 인 출
⋅기억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하는 처리
2. 기억저장의 종류
- 기억 저장
⋅오랫동안 정보를 보유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세포들의 집합
⋅3가지 유형의 기억 저장
1) 감각기억(감각 저장) : 상당한 양의 지각 정보를 아주 짧은 시간 동안 보유
2) 단기기억(즉시 기억) : 아주 적은 양의 정보를 잠시 동안 보관
3) 장기기억 : 아주 많은 양의 정보를 오랫동안 저장
⋅각 유형의 기억들은 특징이 다름
⋅지속시간 –정보가 유지되는 기간
⋅용량 –유지되는 정보의 양
- 3단계 기억 모형 Atkinson과 Shiffrin (1968, 1971), Waugh와 Norman (1965)
3. 기억 저장의 유형
1) 감각 기억(감각 저장)
- 상당한 양의 지각 정보를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전형적으로 1초 이내) 보유함
- 예) 차창 밖으로 스쳐가는 풍경을 볼 때, 어떤 형태론가의 남는 기억
- 노력할 필요 없이 발생
- 어떤 자극이 뇌의 지각 영역을 활성화시켰기 때문에 발생
- George Sperling(1960)는 시각에서의 감각 기억을 기록한 실험 보고
⋅첫 번째 그림 : 이 글자들이 아주 잠시 보이면(0.25초 이내) 사람들은 네 개나
다섯 개 정도 보고할 수 있는데, 사람들은 그보다 더 많이 보았다고 주장
⋅두 번째 그림 : 소리를 통해 참가자가 윗줄, 가운데 줄, 아랫줄 중 어느 줄에
있는 글자를 보고해야 하는지 알려줌. 글자들이 사라지자마자 소리를 들려주
면 참가자들은 그 줄에 있던 글자들을 거의 완벽하게 보고할 수 있음.
⇒ 그 결과 영상기억이 아주 많은 정보를 보유하지만, 아주 빨리 사라진다는 것을 보여줌
2) 단기 기억(즉시 기억)
- 사람이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면, 자극에 대한 정보는 단기기억으로 전해짐
- 되뇌기를 통해 보유시간 연장 가능 (전형적으로 최대 30초 정도)
⋅되뇌기 : 정보를 단기 기억에 유지시키기 위해 자꾸 반복하는 것
- 전형적으로 5~9개의 독립된 정보를 보유
- George Miller(1956)는 단기 기억의 용량은 청크 단위로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
⋅청크(chunk) : 숫자, 글자, 단어처럼 정보의 조직화된 단위
- 어떤 정보에 대해 자각하고 있다는 것은 그 정보가 단기 기억에 있다는 확실
한 신호(단기 기억에 있는 정보에 더 빨리 접근할 수 있음)
- 모든 정보들이 단기 기억으로 부호화되지 못함
▹감각기억에서는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정보를 보유하는데, 단기 기억으로 부
호화하는 처리시간이 걸림
▹단기 기억에는 아주 적은 수의 정보만 수용할 수 있음
2-1) 작업 기억
- 단기 기억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논리적으로 추리하는 것
- 단기 기억 모형의 제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 -Baddeley(1986)-
- 예) 단어맞추기 게임인 스크램블 게임 등
- 작업기억의 3가지 요소
⋅중앙집행기 : 계획을 세우고, 추리하고 문제를 해결할 때 두 개의 단기 기억
에 있는 정보를 변형하고 해석하는 처리들의 조합
⋅조음 루프 : ‘녹음기’. 단기적으로 생성된 소리를 보관
⋅시공간 잡기장 : 심상이나 물체의 위치를 기억하듯이 시각적이고 공간적인
정보를 보관
-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
- 단기 기억과 작업 기억의 차이
⋅단기 기억의 정보를 변형하고 해석하는 일반적인 처리를 포함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4. 기억 정보 인출하기와 망각, 기억향상 (4) | 2023.03.23 |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3. 기억 만들기 (4) | 2023.03.22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1. 성격에 미치는 생물학적, 사회문화적 영향 (14) | 2023.03.20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20. 성격의 특질과 요인들 (8) | 2023.03.19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9. 성격의 역사적 관점 (13) | 202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