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 수용기반 인지행동치료와 수용 전념 치료의 이론적 토대
1) 수용기반 인지행동치료와 수용 전념 치료의 이론적 토대
♣ 인지행동치료는 동향 (wave) 이라 불리는 두 번의 큰 변화를 거쳐 현재 제 3동향
인지행동치료라 불리며 임상 현장에서 폭넓게 쓰이고 있음
- 수용 전념 치료(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 기능 분석 정신치료 등이 이 범주에 속함(Functional Analytic Psychotherapy, FAP) .
♣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제 3동향 인지행동치료의 가장 큰 특징은 기능적
맥락주의 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functional contextualism) .
♣ 즉 제 3동향 인지행동치료에서는 특정 행동이 갖는 기능 (function) 과 행동이 일어나는,
맥락 을 고려하여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치료적 개입을 시도함(context) .
♣ 제 3동향 인지행동치료는 기능적 맥락주의 관점에서 생각과 감정이 다른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개입하고 있으며 특히 수용 전념 치료는 이 관점을 분명히 하고 있음, .
- 즉 수용 전념 치료는 특정 종류의 행동 생각 감정 이 다른 형태의 행동 외현적 행위 에
영향을 주는 주요 맥락을 바꿈으로써 개인적 경험의 형태가 아닌 기능이 바뀔 때 치료적
변화가 일어난다는 견해를 치료의 기본 철학으로 삼음.
♣ 고통스러운 경험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려 하기보다 이를 수용 하고 개인의 가치(accept) ,
에 기반한 전념 행동 을 수행하는 치료 전략을 통해 환자의(value) (commitment behavior)
삶 전반에서 치료가 실효성 (workability) 을 갖도록 도움
♣ 수용 전념 치료의 이러한 치료 기법은 특정 정신질환뿐만 아니라 만성 통증이나 스트레스
관리 같은 정신건강과 관련된 여러 영역에서 임상 효과가 보고되고 있음
♣ 수용 전념 치료의 주요 목적은 심리적 유연성을 강화하는 것.
- 즉 경험에 대해 더욱 잘 인지하고 개방된 태도로 가치에 따라 행동할수록 삶의 질 또한, ,
향상된다는 것.
- 이는 삶에서 겪게 될 문제와 도전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
♣ 수용 전념 치료의 여섯 가지 핵심 과정 및 세 가지 기능 단위(Harris(2009))
① 탈융합과 수용은 모두 생각과 느낌을 분리하고 이를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여지를,
만들고 생각과 느낌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도록 하는 것 그래서 개방적이 되는 것, . .
② 맥락적 자기 즉 관찰하는 자기 와 현재에 접촉하기는 지금 여기에서 경험의 언어적이고( , )
비언어적인 측면과 접촉하는 것을 포함함 지금 여기에 머물면서 온전한 자각을.
유지하는 것.
③ 가치와 전념행동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언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음 자신에게 중요한 것을 알고 중요한 일을 행하는 것. , .
따라서 심리적인 유연성은 현재에 존재하기 개방하기 중요한 일을 하기 로, ‘ , , ’
삼각형으로도 요약하여 설명 가능함
♣ ACT
- 전체 모형의 내용을 요약하는 잘 알려진 축약어를 내담자들에게 소개하고 설명하면 매우
유용할 것임 축약어를 ACT(행동하라 ) 로 발음하면 됨.
▷ 생각과 느낌을 수용하고 현재에 존재하라A(Acceptance): ,
▷ 가치를 두는 방향을 선택하라C(Commitment):
▷ 행동을 취하라 즉 수용하고 선택하고 행동하는 지행합일인 것T(Therapy): . ,
♣ 수용
- 수용하다 는 받아들이다 의 뜻을 지닌 라틴어 에서 유래 즉 받는-‘ (accept)' ' (take)' 'capere' .
행위 또는 주어진 것을 그 순간에 방어 없이 온전히 받아들인다 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 ' ' .
- 이렇게 볼 때 수용은 기꺼이 경험하기 와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음' (willingness)'
- 수용과 기꺼이 경험하기는 노력을 요하는 통제와 반대의 개념으로 나를 나로서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는 것을 말함'
- 기꺼이 경험하기의 목표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모든 감정들 특히 나쁜 감정들조차도 더,
온전하게 느낌으로써 자신의 삶을 더 완전하게 영위하려는 것 즉 더 좋게 느끼려고. ' '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더 잘 느끼는 법을 배우는 것, ' '
① 마음챙김(mindfulness)
♣ 마음챙김이란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들에 대해서 또렷이 깨어있는- (here and now)
것 을 말함 다시 말해서 자신의 마음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에 정확하게 마음을(awareness) .
집중하고 그 현상을 정확하게 관찰 혹은 알아차림 하는 것, ‘ ’
♣ 마음의 집중과 정확한 관찰은 마음의 현상을 선입견 욕구 등으로 판단 평가 비교 논평, , , , ,
상상 혹은 추론하지 않고 특정 현상에 집착 혹은 배척함 없이 사물이나 세계를 있는 그대로,
순수하게 관찰하는 것을 의미
② 기능적 맥락주의(functional contextualism)
♣ 심리학 모델의 대부분은 기계론 이라는 철학을 기반으로 함(mechanism) .
♣ 기계론적인 모델에서 마음은 마치 여러 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진 기계인 것처럼 다루어짐.
♣ 문제가 되는 생각과 감정은 기계의 불량 스러운 부분이나 기계 구조의 결함으로 봄‘ ’ .
♣ 그러한 모델의 목적은 잘못된 부분을 고치거나 교체하거나 제거함으로써 기계가 다시 제, ,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
♣ 심리학의 기계론적인 모델들은 태생적으로 잘못되고 적응을 못하고 병리적 인 생각 감정
기억이 있다고 봄.
- 다시 말하면 태생적으로 잘못되고 적응을 못하고 병리적 인 기억 생각 감정 정서
충동 심리 도식 자아상태 핵심믿음 등은 고치거나 교체하거나 제거해야, (schema),
한다는 것
♣ 반면 기능적 맥락주의는 전체적인 맥락을 우선시함으로써 전체적인 기능적 맥락 내에서
하나의 행동이 어떻게 진행되는 지를 보려고 함.
♣ 심리적 사건 이란 역사적상황적 맥락을 가진 것으로써 는 먼저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 ACT ․
정서를 수용하게 하고 현재에 중요한 가치를 발견하여 현실 속에서 자신에게 중요한, ,
가치를 실행하는 것을 중심과제로 삼음.
♣ 문제행동을 분리하지 않고 전체적인 삶의 맥락 안에서 다른 행동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관련된 정서행동사고와 같은 심리적 종속 변인에 영향을 주는 맥락을 바꾸는데, ․ ․
초점을 둠
③ 관계 틀 이론(Relational Frame Theory, RFT)
♣ 는 전통적인 행동치료가 아니며 고전적인 인지행동치료도 아님 는 과학 철학ACT , . ACT ,
언어와 인지의 기능들에 관한 기초 이론 정신병리학과 행동 변화 이론 및 치료,
프로토콜들이 개발될 수 있는 핵심 과정들에 기반을 둔 행동치료임
♣ ACT 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관계 틀 이론 에 근거하고 있는데 는 언어에 대한 (RFT) , RFT
현대 행동주의적 설명이라고 할 수 있음.
♣ RFT 와 ACT 의 심리적 유연성을 언어와 인지적 기능으로 살펴봄 .
- 는 언어를 조작적 통제하에 있는 일종의 행동으로 봄RFT .
- 언어를 생성하는 맥락과 사람들의 생활을 지배하는 언어의 능력을 규명하는 것이
추구되는 것 예를 들면 과거사건 결코 일어나지 않았더라도 이나 미래사건 결코. , ( ) (
일어나지 않을지라도 에 대한 장애를 경험하게 하는 맥락을 규명하는 것) .
- 그래서 에서는 와 기능적 맥락주의로 언어가 괴로움을 지배하거나 촉진시키는ACT RFT
맥락을 규명하고 또한 언어의 지배를 약화시키는 맥락을 규명하려고 시도함, .
♣ RFT 에 근거하여 ACT 는 언어에 기반된 인간 괴로움의 정상성을 강조함 , .
- 괴로움 을 촉진시키는 것이 경험 회피와 인지적 융합의 심리적 과정임 경험 회피는
그것으로 인하여 개인이 사적 경험 예 신체 감각 감정 생각 기억 행동 소인 의 형태나
빈도 그리고 그것이 일어나는 맥락을 결과로 나타날 수도 있는 사회적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결과에 관계없이 의도적으로 변화시키려고 시도하는 과정임, .
- 인지적 융합은 경험 회피를 지지하는 것인 데 개인의 언어적 과정 즉 생각 이 생각의
산물 내용 에 대한 생각의 과정 맥락 을 알아차리지 못한 실패로 인하여 비효과적인
방식으로 행동을 뚜렷하게 조절할 때 일어남.
- 이들 과정이 개인의 경험을 지배할 때 심리적 경직성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 .
- 심리적 경직성은 경험 회피와 인지적 융합으로 과도하게 얽매여 있거나 상황적 맥락과,
연결시키거나 가치를 둔 목표에 따라 행동을 하는데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어질
수 있음.
- 불쾌한 경험을 통제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개인들은 자신들의 신체적 정서적 및 심리적, ,
안녕에 손상이 되는 행동에 관여할 수도 있음 예 지나친 음주 상황 회피
- 설상가상으로 사적 경험을 통제하려는 시도는 그러한 경험의 강도와 빈도에서 역설적,
증가를 가져올 수도 있으며 심지어는 정신 병리의 결과를 낳을 수도 있음,
'임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50. 집단치료의 특징 및 종류 (3) | 2023.12.14 |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49. 수용 전념 치료의 정신병리 이론과 변화 이론 (1) | 2023.12.13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47. 인지모델의 주요 개념과 기법들 (3) | 2023.12.11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46. 인지치료 기본 개념과 인지매개가설 (5) | 2023.12.10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45. 신경과학 연구와 치료 성과 연구 (2) | 2023.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