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심리학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42. 추동 이론과 자아심리학

반응형

42. 추동 이론과 자아심리학

1) 삶의 추동과 죽음의 추동


프로이트에 따르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생물적 기본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동기화됨, .
♣  음식이나 성적 욕구와 같은 가장 기본적인 충동은 신경계 내에 에너지가 형성되도록 만듦.
- 프로이트는 이러한 심리성적 에너지를 리비도 라고 불렀으며 리비도가 높을 때 
불안의 형태를 취하는 심리적 불편함이 야기된다고 주장.
- 만일 리비도가 검열 받지 않은 채 계속 증가하게 되면 정신건강을 위협할 수 있음, .
- 따라서 이 에너지를 방출하여 편안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유일한 길은 생물적 충동을
만족시키는 행동을 수행하는 것.
♣  그런데 충동은 잠시 휴지기를 가질 뿐 결코 식을 줄을 모르기 때문에 어떤 만족도 그저
일시적일 뿐임.
♣  불안은 추동이 지나치게 높으며 회복할 수 없는 심리적 손상을 야기할 정도로 위협적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적응적 경고 시스템으로 작동함
♣  프로이트의 추동 개념은 많은 측면에서 댐에 물이 차오르는 것과 같음.
♣  상류는 끊임없이 댐에 물을 공급하며 물의 흐름은 결코 그치지 않을 것이기에 댐은 하류로,
물을 서서히 방출하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함.
♣  만일 댐이 정기적으로 물을 방류하지 않는다면 물이 차올라 댐이 넘쳐 하류지역에 홍수를,
일으킬 위험이 있음 그리고 수위가 높아질수록 위협도 커짐. .

♣  수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게 만드는 한 가지 방법은 수위를 점검하여 수위가 댐
꼭대기까지 차오르는 것을 경고해주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 이 유추에서 물은 리비도이며.
경고 시스템은 불안
♣  프로이트가 제안한 행동을 동기화시키는 추동
① 삶의 추동 또는 성 추동(life drive )
- 삶의 추동은 프로이트에게 있어 가장 유명한 추동.
- 이 추동은 음식과 물 그리고 성적 생식과 같은 기본적인 생존과 쾌락주의적 즐거움을 반영.
- 삶의 추동은 자신의 삶을 유지시키며 그 삶을 후속 세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짐.
- 리비도란 삶의 추동이 생성하는 에너지를 말함.
② 죽음의 추동(Death Drive)
- 삶의 추동만을 가지고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한 프로이트는
1920년에 출판한 책 쾌원리를 넘어서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에서 죽음 추동을 
첨가하게 되었음.
- 전쟁이나 천재지변과 같은 외상 사건을 경험하는 사람은 그 경험을 의식에서 되새기기
십상이라는 사실에 주목한 프로이트는 사람들이 죽고자 하는 무의식적 소망을 가지고
있으나 평상시에는 삶의 추동이 이러한 소망을 가라앉힌다고 결론 내렸음.
- 그는 죽음 추동이 생성하는 에너지를 타나토스 (thanatos) 라고 불렀음

 

2) 방어기제


(1) 기능
♣  인간은 무의식적으로 현실을 부정하거나 왜곡
♣  방어기제는 특정 상황에서 초래되는 불안 을 직면하지 않아도 되게 함 하지만 특정‘ ’ .
방어기제들을 자주 지속적 현실과 무관하게 사용할 시 현실을 회피하는 패턴 형성, , =>
내담자 문제의 시작 병리적( )


(2) 특징
♣  불안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  개인 내면에서 무의식적으로 개발된 방법
♣  현실이나 불안을 직시하지 않고 현실부정 왜곡 내적 체험의 차단을 통해 불안처리( ) , ,


(3) 종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