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임상심리학의 창립과 1930년대까지의 발전

♣ 위트머(Witmer)는 심리학의 연구방법을 부적응 행동의 개선에 적용했던 최초의
시도로써 1896년에 임상심리학 창립
♣ 초창기 임상심리학은 지능검사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이는 비네 검사를
미국에 보급한 고다드(Goddard)와 이를 표준화한 터만(Terman)의 업적 등으로
대표됨. 제1차 세계대전 즈음에는 입영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한 군대용
집단지능검사가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하였음. 이 시기의 임상심리학자들은 주로
의료 장면에서 정신검사를 시행하였고, 일부는 아동지도소 및 대학에 소개한
심리클리닉에서 교정적 작업에 종사
1) 임상심리학의 창립 : 라이트너 위트머 (Witmer)
♣ 위트머는 1896년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심리클리닉을 개소한 것을 공식적인 임상심리학의
기원으로 여김. 이 시기 미국의 심리학자들은 정신질환의 치료란 정신의학의 담당영역이라고
여겼으며, 심리학의 적용은 그 외의 영역에 집중시키고자 하였음
♣ 1896년 펜실베이니아 대학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14세 학생을 의뢰 받았는데, 철자법을
떼지 못했음. 이 아동을 돕는 과정에서 시력 문제를 교정하자 철자법 문제가 개선됨을 볼 수
있었음. 이후 언어장애가 있던 두 번째 사례가 있었고 비슷한 방식으로 1년여간 스물네댓 개의 사례를 다뤘음
♣ 위트머는 1907년 최초의 임상심리학 학술지 Psychological Clinic 창간
♣ 위트머는 임상심리학자의 역할을 치료실 영역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여겼으며, 빈민 우범
지역의 아동의 경우처럼 유해한 사회적 조건을 바꾸기 위한 예방적인 사회적 운동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 그는 의사 및 사회복지사 등과 협력하여야 한다는 관점을 갖고 있었음
♣ 위트머는 현대 임상심리학의 창시자로서 인정되기는 하지만 그의 영향력은 실제적이기
보다는 역사적인 의의를 갖는 정도로 평가됨. 전문 직업에 관하여 최초로 이름을 붙였지만
새로운 이론이나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했다는 한계가 있음
♣ 위트머는 당대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던 정신분석학 및 지능검사, 정신건강운동,
아동지도운동 등 대중적으로 주목받았던 방식과 동떨어져 자신만의 방법에만 머물렀던
한계를 보임
2) 행동주의의 출현
♣ 1904년 노벨생리학상을 수상한 러시아의 파블로프(Pavlov)는 고전적 조건형성 원리 규명.
파블로프의 주장은 행동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진 미국의 왓슨(Watson)에게 계승. 왓슨은
1913년 행동주의자 선언을 발표했으며 관찰 가능한 행동만을 대상으로 ‘객관적 실험을 통한
연구방법’을 강조
♣ 미국에서 행동주의가 인기를 끌게 된 것은 당시 유행했던 내성법에 의한 연구보다
과학으로서 심리학의 행동 연구가 더욱 실용적일 것이라는 과감한 그의 주장 때문. 그는
광고, 약물 효과, 법학, 교육 등의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행동원리가 기여함을 역설하였고,
그러한 인기에 힘입어 1915년 미국심리학회장이 되었음
♣ 행동주의 운동은 당시 철학의 논리실증주의 및 물리학의 조작주의 등을 기반으로 성장할 수
있었으며, 심리학이 사회적 전반적 현상들을 설명하는 데 유용함을 주장한 사건
♣ 왓슨의 노력 이후 20여년이 흐른 1930년대에 이르러 행동주의는 심리학의 주요 이론으로서
자리를 잡았으며 ‘행동치료’가 주요 개입 방안으로 부각된 것은 1950년대 이후
3) 지능검사의 등장과 확산
♣ 프랑스의 비네(Binet)와 시몽(Simon)이 1905년 최초의 지능검사를 발표하였으며, 이 역시도
선구적 업적에 기반
♣ 비네의 지능검사는 당시 의무 교육 대상 학생을 선별하려는 목적으로 파리 공교육청의
요구로 개발되었으며, 이는 미국으로 전파되고 이어 전 세계로 보급. 1912년에는 독일의
윌리엄 스턴(Stern)이 비율지능지수를 제안
4) 1차 세계대전 전후의 상황
♣ 제1차 세계대전에 미군이 참전하였고, 1917년 참전군인을 위한 군대-알파(Army Alpha)와
독해력이 부족한 수검자를 위한 군대-베타(Army-Beta)의 집단지능검사를 개발하여
징집대상자에게 시행. 훗날의 평가에 의하면 제1차 세계대전 기간 중 심리학이 전쟁에
기여한 것보다 전쟁이 심리학이 기여한 점이 더 많았다고 평가되기도 함
♣ 이 시기에 최초의 자기보고 성격검사인 우드워스(Woodworth, 1917)의 개인자료기록지가
등장하였고, 이제 심리학자들은 지능검사를 넘어 다양한 검사도구들을 사용하기 시작
<1940년대 이전의 임상심리학의 주요 사건>
1870~1880년대 | |
1879년 | § 빌헬름 분트가 실험실 창립 |
1882년 | § 프랜시스 골턴 인체측정화 실험실 개소 |
1887년 | § G.스탠리 홀이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를 발간 |
1889년 | § J.M.카텔이 미국 최초로 심리학과(펜실베이니아대) 교수로 부임 |
1890년대 | |
1890년 | § 제임스가『심리학의 원리』를 출간 § 카텔이 정신검사를 정의 |
1892년 | § 미국심리학회 창립 |
1895년 | § 브로이어와 프로이트가『히스테리 연구』발간 |
1896년 | § 라이트너 위트머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첫 번째 심리클리닉 설립 |
1900년대 | |
1900년 | § 프로이트『꿈의 해석』출판 |
1905년 | § 비네와 시몽이 비네-시몽 지능검사 개발 |
1906년 | § 파블로프가 노벨생리학상 수상 |
1907년 | § 위트머가 Psychological Clinic 창간 |
1908년 | § 클리포드 비어스는 정신위생운동 시작 § 고다드가 비네 검사를 미국에 도입 |
1909년 | § 프로이트의 유일한 미국 방문(클라크 대학교 개교 20주년 기념) § 윌리엄 힐리(Healy)가 시카고에서 아동지도 클리닉 개소 |
1910년대 | |
1913년 | § 왓슨이 행동주의자 선언서 발표 |
1916년 | § 루이스 터만이 스탠포드-비네 지능검사 표준화 |
1917년 | § 로머트 여크스와 위원회가 군대-알파와 베타 검사 제작 § 우드워스가 PDS를 제작 |
1920년대 | |
1920년 | § 왓슨과 레이너가 ‘꼬마 앨버트’ 실험 |
1921년 | § 헤르만 로르사하 잉크반점검사 발표 |
1930년대 | |
1935년 | § APA가 임상영역 보고서를 통해 임상심리학을 정의 |
1936년 | § 루띠가 첫 임상심리학 교과서 출판 |
1937년 | §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발간 |
1939년 | § 웩슬러-벨뷰 지능검사 출판 |
'임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9. 임상심리학의 현황 : 1980년에서 최근까지 (4) | 2023.10.30 |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8. 세계대전과 임상심리학의 도약 : 1940년에서 1979년까지 (9) | 2023.10.29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6. 임상심리학의 역사적 선구 (10) | 2023.10.26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5. 임상심리학의 인접 학문 분야 (15) | 2023.10.25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4. 임상심리학자의 수련모델 (7)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