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임상심리학자의 수련모델
1) 과학자-임상가 모델
♣ 현재 임상심리학의 가장 대표적인 모델
♣ 다양한 임상적 주제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는 과학자의 능력을 갖추는 동시에 임상 현장에서
환자의 심리적 문제를 평가하고 치료하는 임상가의 역량을 지닐 수 있도록 수련 과정이
구성되어야 함
♣ 과학자-임상가 모델은 과학적 탐구와 임상적 실천을 함께하는 임상심리학자의 역할을 강조함
♣ 임상심리학자는 정신장애와 심리치료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과학적 연구자인
동시에 과학적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여 임상적 실무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함. 따라서
임상심리학자는 임상 현장에서 정신장애 환자(내담자)에게 전문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실무역량을 지니는 동시에 임상 현장에서 발견한 문제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검증할 수
있는 연구역량을 갖추어야 함
♣ 과학자-임상가 모델은 임상심리학자가 임상 현장과 괴리된 비실용적 연구에만 매달리는
연구자여서도 안되며 과학적 탐구 없이 개인적 경험에만 근거하여 실무활동을 하는
임상가여서도 안된다는 것
2) 대안 모델
♣ 과학자-임상가 모델은 진로에 대한 학생들의 욕구가 반영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실현하기 어려운 점들이 많다는 비판 제기
♣ 과학자-임상가 모델은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이 제기. 일반적으로 과학자는 객관적이고
분석적이며 냉철한 태도가 필요한 반면, 임상가는 온화하고 공감적이며 직관적인 태도를
지니는 것이 중요.
♣ 그런데 과학자와 임상가에게 요구되는 자질이나 태도가 상반된 것이어서 한 사람이 양쪽의
태도를 모두 지니기 어렵다는 점 제기. 대부분의 경우 개인은 어느 한쪽의 자질이나 태도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과학자와 임상가의 역할은 모두 잘 수행할 수 있는
임상심리학자를 양성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주장 등장
(1) 심리학 박사 모델
♣ 가장 대표적 대안 모델
♣ 임상가의 실무교육을 강화하는 대신 과학자의 연구교육을 약화시키고, 학위논문의 조건을
간소화하여 심리학 박사 학위를 수여함으로써 임상가 양성에 중심을 둔 수련 모델
♣ 교육과정에서는 심리평가와 심리치료의 인턴십이 강조되고 있으며 주로 실무와 관련된
학위논문을 제출하도록 되어 있음
(2) 전문대학원 모델
♣ 전문대학원은 대학교와 연계 없이 독자적으로 설립된 교육기관으로서 임상심리학 실무자를
양성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심리학 박사 학위를 수여
(3) 임상과학자 모델
♣ 전문대학원 모델처럼 임상심리학자가 실무자 중심으로 양성되는 추세가 계속된다면 과학적
기반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증가되면서 과학적 연구를 강조하는 임상과학자 모델 제안
♣ 실무교육을 최소화하면서 임상연구와 논문을 강조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모형
'임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6. 임상심리학의 역사적 선구 (10) | 2023.10.26 |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5. 임상심리학의 인접 학문 분야 (15) | 2023.10.25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3. 임상심리학자의 기능 (5) | 2023.10.23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2. 임상심리학의 이해 (10) | 2023.10.22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 행동평가 면접 (17) | 2023.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