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임상심리학의 인접 학문 분야

1) 정신과 의사
♣ 정신의학은 정신장애를 진단·치료·연구하는 의학의 한 분야로서 최근에는 정신건강의학이라 부르기도 함
♣ 정신의학은 생물의학적 모델에 근거하여 정신장애의 원인을 주로 신체적 원인에서 찾고자
하며 치료 방법 역시 물리적 수단(약물치료, 전기충격치료 등)을 중시
♣ 임상심리학과 정신의학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임상심리학이 정신장애의 심리적 원인을
연구하고 심리적 치료 방법을 적용하는 반면, 정신의학은 정신장애의 신체적 원인(뇌의
구조적 결함, 화학적 이상 등)에 초점을 맞추고 물리적 치료 방법을 적용한다는 점
♣ 정신장애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여러 전문가들의 협력적 노력 필요. 정신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유발할 뿐만 아니라 치료과정에서 다양한 측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기 때문. 일반적으로 병원 장면에서는 정신과 의사가 중심이 되어 임상심리사, 정신과
사회복지사, 정신과 간호사 등의 전문가들과 팀을 이루어 협력적인 관계 속에서 환자의
치료에 임하게 됨

2) 상담심리사
♣ 정상적인 적응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 생활 속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적응 문제의 해결을
도와주는 심리학 분야의 전문가
♣ 대다수의 상담심리학자들은 개인의 심리적 문제를 특정한 장애로 유형화하거나 진단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상담기법을 적용. 그러나 정상 범위에 속하는 심리적 문제와 정신장애의
경계가 모호할 뿐만 아니라 심리치료와 상담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근래에는 상담심리학자들이 이상심리학, 심리평가, 심리치료를 비롯한 임상심리학의 이론과 치료
방법을 적용하여 정신건강 문제에 개입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음
3) 정신과 사회복지학
♣ 정신장애를 유발하는 사회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정신장애의 치료를 위한 사회환경적
개입방법을 연구하는 전문 분야
♣ 정신장애는 개인의 신체적·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음(예: 가난, 실직, 열악한 주거환경이나 가족상황)
♣ 정신장애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물리적·심리적 치료와 더불어 그들의 장애를 악화시키는
사회환경적 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노력 필요
♣ 보건복지부에서 정신건강 전문요원으로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으며, 많은
사회복지사들이 가족치료를 위시한 심리치료와 심리상담 활동에 참여
4) 정신과 간호학
♣ 정신과 간호학은 정신과 환자를 효과적으로 돌보고 치료를 지원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전문 분야
♣ 정신과 병동에서 환자의 일상생활과 적응을 돕고 돌보는 활동을 하거나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장애 환자를 돌봄
♣ 보건복지부에서 정신건강 간호사 자격증을 발급
♣ 정신건강 간호사들도 정신장애 환자를 돌보는 일과 더불어 심리치료와 심리상담 활동에 참여
'임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7. 임상심리학의 창립과 1930년대까지의 발전 (13) | 2023.10.27 |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6. 임상심리학의 역사적 선구 (10) | 2023.10.26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4. 임상심리학자의 수련모델 (7) | 2023.10.24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3. 임상심리학자의 기능 (5) | 2023.10.23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2. 임상심리학의 이해 (10) | 2023.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