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임상심리학의 역사적 선구
♣ 심리학은 1879년에 태동하였으나 그전부터 인간의 정신에 관한 관심은 인류의 오랜
주제였으며, 철학을 비롯한 종교, 의학, 생물학 등도 이를 다루어 왔음
♣ 독립 학문으로서 심리학은 다양한 입장을 포섭하면서 발전하였는데, 다음에서
임상심리학의 창립 이전에 있었던 관련된 주요 사건을 간략히 알아봄. 아울러 심리학이
형성되면 시기 즈음에 전개된 정신분석 및 정신의학의 발전 양상도 일부 조명
1)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의 흐름
♣ 이상행동을 이해하고 치료하려는 노력은 선사시대에도 존재했을 것으로 보이며, 천공된
두개골에서 그 흔적을 찾기도 함
♣ 로마시대의 의사였던 갈레노스(130~200 A.D)는 히포크라테스의 영향을 받아 4체액설을
발전시켰는데, 만성질환자의 경우 피를 빼는 사혈 및 방혈 방법을 적용하였고 우울증 치료에
구토를 권유하기도 하였음. 이러한 치료관행은 근대에 이르기까지 사용됨
♣ 정신건강에 관한 고대의 관점은 건강, 질병, 성격, 행동이 상호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전체론적 관점의 선구로 간주될 수도 있을 것임
♣ 중세시대 : 이상행동은 악령에 의해 귀신들림(빙의)으로 해석되었고, 치료는 당연히
성직자에 의한 영적 개입-주술적 행위 및 고문, 종교적 처단 등-이었음
♣ 17세기 과학 혁명기에는 자연현상을 있는 그대로 과학적 방법에 따라 기술하려는 방식이
주류로 등장. 귀납법 및 자연의 통제를 중시하는 입장은 이후 다윈과 미국의 기능주의 및
행동주의 심리학에 큰 영향을 줬음
♣ 프랑스의 철학자 데카르트는 정신과 신체가 분리된다는 심신이원론을 주장하였고, 이는
인간행동의 기본원리를 설명하려는 최초의 역사적 시도로 간주됨. 또한 사유를 통한
진리탐구라는 데카르트의 합리주의적 전통은 라이프니츠 및 칸트에 의해 계승되었고, 현대
인지심리학의 철학적 기초가 됨. 뉴턴 이후 가설이나 독단을 배제하고 수학적, 합리적,
경험적,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여 현상을 성공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믿음이 인간을
이해하는 연구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는 토대가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음
♣ 근대적 방식으로 신경계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치유하려는 시도는 의사였던 프란츠 안톤
메스머(Mesmer, 1734~1815)의 메스머리즘(mesmerism)에 관한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음.
그는 동물 자기설(animal magnetism)을 주장하면서 환자에게 철분 함량이 높은 약을
투여한 다음, 자석 위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얼마 후에는 자석이 없이도 자력을 가진
자신의 암시에 따라 환자가 호전된다고 했으나 비과학적인 방법으로 판정 내려졌음
2) 19세기와 심리학의 창립
♣ 프랑스의 정신과의사인 필리프 피넬(Pinel, 1745~1826)은 도덕 치료(moral treatment)를
주장하면서 열악한 환경에서 환자들을 속박하던 정신질환자 수용소의 환경 개선
♣ 정신병원 개혁 운동은 정신질환자에게도 인간적이고 전문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는 현대 임상심리학과 가장 직접적으로 연관된 역사적 사건이라고 주장되기도
함. 다만 현대적 관점에서 비판한다면 이러한 개혁운동은 일정한 시설에 수용되어 있던 이들
만을 대상으로 처우와 치료를 개선하고자 했지만 한계가 있었음. 이 시기에는 또한 생물학적
유전적 원리들이 발견됨으로써 이후 신경심리학 및 신경과학, 인지과학 등에 토대 제공
♣ 찰스 다윈(Darwin, 1809~1884)은 1859년『종의 기원』에서 자연선택설에 근거한 진화론을
주장하였음. 다윈의 주장은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은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얼마나
기여하는가에 따라 연구되어야 한다는 기능주의 심리학에 크게 영향을 미쳤고, 진화심리학을
비롯한 비교심리학, 사회진화론 등의 기본골격을 제공
♣ 1879년 빌헬름 분트(Wundt, 1832~1920)가 독일 라이프지히 대학교에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설치함으로써 심리학 창립. 분트는 철학적 사유를 넘어 실증적 실험연구를
활용하였으며, 심리학의 역사 초기에 기여한 여러 학자들을 배출함
♣ 1892년 미국심리학회 APA 창설
♣ 조셉 브레우어(Josef Breuer)는 프로이트(Freud, 1856~1939)와 논의하여
1895년『히스테리 연구』공동 출간. 그 책에서는 최면적 암시 없이도 내담자와 대화치료가
가능하며, 환자는 감정정화(abreaction)를 경험하면 호전될 수 있다고 주장. 프로이트는
이후 자유연상과 무의식 등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여 최초의 심리치료 이론으로 평가되는
정신분석 발전시킴
'임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8. 세계대전과 임상심리학의 도약 : 1940년에서 1979년까지 (9) | 2023.10.29 |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7. 임상심리학의 창립과 1930년대까지의 발전 (13) | 2023.10.27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5. 임상심리학의 인접 학문 분야 (15) | 2023.10.25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4. 임상심리학자의 수련모델 (7) | 2023.10.24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3. 임상심리학자의 기능 (5) |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