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51) 썸네일형 리스트형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6. 대표적인 정신장애 진단 분류체계 16. 대표적인 정신장애 진단 분류체계 1) 미국정신의학회의 DSM 체계 ♣ DSM은 각 정신장애를 정의하는 증상들로 구성된 진단기준에 입각하여 그 기준을 만족시킬 경우에 특정 정신장애로 진단하는 범주적인 분류 체계 ♣ DSM 진단체계는 특정 장애의 본질적인 특성들을 기반으로 하여 경험이 풍부한 임상가들의 기술로부터 시작되었음 ♣ DSM에는 각 장애별로 진단기준이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고, 감별진단을 위한 지 침도 자세히 제공함으로써 진단자 간의 진단 일치도를 높였음 (1) DSM-I (1952) ♣ 기본적으로 DSM은 질병의 의학적 모형을 따름. ♣ DSM-I은 1952년에 크레펠린의 정신의학분류법에서 유래됨 ♣ 상당히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과학적 연구를 진행하여 특정장애의..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5. 정신장애 분류 방식 15. 정신장애 분류 방식 1) 정신장애의 범주적 분류와 차원적 분류 (1) 정신장애의 범주적 분류 ● 역사적으로 볼 때 범주적인 분류법은 플라톤의 분류법에서 시작. ● 이상행동이 정상행동과 질적으로 다른 명백한 특징이 있다고 보고 ● 어떠한 질병을 구성하는 임상적인 증상이 있으며 이러한 준거가 되는 진단기준에 따라 진단을 내리는 데, 이러한 진단은 정상적인 건강한 상태와는 분명히 구분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임상적인 증상 특징들이 어떤 진단 범주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는 것 ● 범주적 진단체계는 한 진단 내에 포함되는 모든 사례가 동질적일 때, 각 진단들 사이에 명백한 경계가 있을 때, 그리고 다른 진단들이 서로 배타적일 때,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정신장애에 대한 DSM 분류체계의 근간을 이..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4. 정상과 이상행동의 판단 기준 14. 정상과 이상행동의 판단 기준 - 이상행동과 정신장애를 정의하는 기준은 학자들마다 다양하며, 단일하게 정의된 절대적인 기준은 없음 1) 적응적 기능의 저하 및 손상 ♣ 정신적으로 건강한가를 판단하는 기준 중의 하나는 자신이 생활하는 환경 내에서 얼마나 적응을 잘하는가와 관련된 것 ♣ 일상생활이나 직장 및 사회적 관계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과 갈등을 유발하는 정서적 반응 ♣ 과 부적응적인 행동을 보인다면 이상행동으로 보는 것 ♣ 제한점 : 적응과 부적응 문제를 판단하는 명확한 경계가 없다는 것, 누가 어떤 점에 근거하여 적응기능이 저하되었거나 손상되었다고 판단하느냐 하는 것, 개인의 부적응 문제가 어떤 심리적 기능의 결함에 의해 초래되었는지 인과관계를 알기 어렵다는 것 등 2) 주관적 고통과 불편감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3. 상관법 13. 상관법 ♣ 상관법은 임상심리학에서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 중 하나. 인간 연구에서 적극적인 실험 조작을 하기 어려운 상황(예, 애착의 발달, 외상 경험 등)에서 애착의 발달 정도나 외상 후 불안 정도를 질문지나 인터뷰 등의 평가를 활용하여 정량화하고, 다른 종속변수들(예, 사회 기능 수준, 대인관계 기능 수준 등)과의 관계를 평가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기도 함 1) 상관법 ♣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측정하고 묘사하기 위해 이용되는 통계학의 한 기법 (Gravetter, Wallnau, 2009) ♣ 상관법은 하나의 변수가 다른 변수와의 어느 정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 ♣ 관계의 방향 ♣ 관계의 정도 2) 상관관계 ♣ 서열 척도, 등간 척도, 비율 척도로 측정된..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2. 관찰법 12. 관찰법 ♣ 관찰법은 임상심리학에서 가설을 세우기 전부터 가설을 세우며 가설을 검증하는 과정에 모두 활용됨 ♣ 관찰법에는 비체계적 관찰, 자연적 관찰, 통제된 관찰 등이 있음 1) 비체계적 관찰 ♣ 비체계적 관찰은 연구자가 가설을 세우는 단계에서 실시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일상적인 관찰 예) 연구자가 자신이 일하는 병원에서 자연스럽게 환자들의 행동을 관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치료에 대한 가설이나 정신병리에 대한 가설을 세울 수 있음 ♣ 비체계적 관찰을 하는 경우에는 연구가 시작되지 않은 단계이므로 연구 참여자는 존재하지 않음. 비체계적 관찰의 결과는 사실 통제되지 않은 변인이 많아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지만, 실제 연구 가설로 연계됨으로써 결과가 축적되어 이론으로 발전하는 경우도..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1. 유사 실험 설계와 혼합 설계 11. 유사 실험 설계와 혼합 설계 1) 유사 실험 설계 ♣ 무작위 할당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동등화 할 수 없을 때, 무작위 할당 대신 다른 방법을 통하여 실험 집단과 유사한 비교 집단을 구성하는 설계 방법 ♣ 유사 실험 설계(quasi-experiment design)는 실험법 가운데 혼합 집단 설계 중 무선통제연구와 유사하지만, 무선할당을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이함. 즉, 연구자가 임의로 연구 참여자를 여러 집단에 할당하거나 연구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특정 조건에 지원하여 연구 참여자를 할당하고 나서, 연구자가 조작하는 독립변인(예, 치료의 종류)과 종속변인(예, 불안 점수)의 관계를 연구할 때 사용됨 ♣ 무선할당을 하는 경우 연구 참여자가 우연이 아닌 경우 각 조건(집단)에 동일한 특성을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10. 단일 사례 실험 설계와 집단 실험 설계 10. 단일 사례 실험 설계와 집단 실험 설계 1) 가설 검증 위해 임상심리학 영역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방법 ♣ 가설 검증을 위해 임상심리학 영역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들을 실험법(예: 집단 간 설계)과 비실험법(예: 관찰법, 질문이나 검사를 활용한 상관법, 자연적 그룹 설계)로 나눌 수 있음 ♣ 실험법은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유일한 연구방법으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자는 일종의 처치(조작, manipulation)을 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평가 예1) 특정 치료(예, 단기정신역동치료, 약물치료)가 정신과 증상(예, 우울 증상, 조현병 양성 증상 등)의 경감을 이끄는지를 연구할 때 활용 예2) 사회적 위협(예, 편견)이 정신장애를 지닌 사람들의 불안을 가중시키는지를 연구할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9. 임상심리학의 현황 : 1980년에서 최근까지 9. 임상심리학의 현황 : 1980년에서 최근까지 ♣ 미국의 임상심리학은 1980년 독립적인 심리치료 시행권리를 확보하였고, 건강 및 신경심리, 법정 분야 등에 걸쳐 다양한 전문성을 추구하게 됨 ♣ 70년대 인증된 심리학박사 학위제도와 자유설립 심리학전문대학원의 설치에 힘입어 실무인력이 크게 증가 ♣ 관리건강보호제도(Managed health care)가 보급되면서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 체계가 급변하는 상황이 되었고, 임상심리 수련에서 과학자의 기능을 강조하는 임상과학자 모형도 출현 ♣ 경험적으로 지지된 치료의 보급을 강조하기 시작 ♣ 긍정심리학과 행복에 관한 과학적 관심이 높아졌으며, 마음 챙김과 수용을 강조하는 보다 혁신적인 인지행동치료 출현 ♣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전문가의 역할이 더욱 강.. 이전 1 ··· 26 27 28 29 30 31 32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