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지능의 개념
1) 지능의 정의와 지능검사의 역사
(1) 유명한 역사적 이론가들의 지능에 대한 정의
학자 | 정의 |
Francis Galton (1822 ~ 1911), 영국 심리학자 |
§ “[천재성]은 예외적이고 높고 또한 선천적인 능력이다. 천재란 존슨 사전에 기록되어 있듯이 ‘정신적인 힘 혹은 정신적 능력이다. 어떤 특별한 직업에 종사할 수 있는 자격이 되는 타고난 성향’을 말한다. 천재란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이다. [천재]는 선천적 능력과 같은 뜻으로 사용될 수 있다.” |
Alfred Binet (1857 ~ 1911)와 Theodore Simon (1873 ~ 1961), 프랑스 심리학자 |
§ “지능에는 한 가지 근본적인 능력이 있으며 만일 그것이 변하거나 부족하면 실생활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이것은 판단력으로, 다시 말해 좋은 감각, 실용적 감각, 주도력, 자신을 환경에 적응시키는 능력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판단력이 부족하다면 멍청이나 바보가 될 수 있겠지만(이 용어들은 현재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이전에는 정신적 장애가 매우 심각한 수준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판단력이 좋다면 결코 멍청이나 바보가 될 수 없다. 사실 판단력을 제외한 나머지 지적 능력들은 판단력에 비하면 거의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Charles Spearman (1863 ~ 1945), 영국 심리학자 |
§ “지능을 추정하는 복잡한 문제에 관련한 기본 원리는 어떤 정신 활동이 가장 큰 타당성을 가질 것인가에 대한 그 어떤 선험적인 가정도 하지 않는 것이다. 잠정적으로, 어쨌든 그 목표는 서로 간에 관련이 있거나 다른 기능과 관련이 있다고 타당하게 보이는 주장을 하는 모든 다양한 능력을 경험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
Henry Herbert Goddard (1866 ~ 1957), 미국 심리학자 |
§ “우리가 주장하는 인간 행동의 주요 결정요인은 우리가 지능이라고 부르는 하나의 정신 과정이다. 이 과정은 타고난 신경 메커니즘에 의해 조건화 되어 있다. 그 효능성의 수준은 신경 메커니즘에 의해 획득되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개인의 지능 점수 혹은 정신 수준은 생식 세포의 연합으로 나타나는 염색체의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 지능은 그 메커니즘의 일부가 손상되는 것과 같은 심각한 사고를 제외하고는 이후에 일어나는 그 어떤 것의 영향도 거의 받지 않는다.” |
Robert Mearns Yerkes (1876 ~ 1956), 미국 심리학자 |
§ “지능이란 복잡하게 연결된 기능들의 합체로서 그것에 대하여 완전하게 혹은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Lewis Terman (1877 ~ 1956), 미국 심리학자 |
§ “지능은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이다.” |
학자 | 정의 |
Cyril Burt (1883 ~ 1971), 영국 심리학자 |
§ “지능이란 무엇보다도 정서적 혹은 도덕적인 것이 아닌 지적 성질이다. 지능을 측정할 때 우리는 아동의 욕망, 흥미 등의 효과를 배제하려고 애쓴다. 둘째, 지능은 일반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아동이 말하고 행동하고 생각하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지능’의 부족은 따라서 그 아동이 시도하는 것의 모든 것에 어느 정도는 나타난다. 어떤 제한된 혹은 특수한 능력이 약하다면-예를 들어 말하기나 글 읽기와 학습하거나 계산하는 능력-그것 자체로 결코 결함 된 지능 신호가 아니다. 셋째, 지능의 정의에 따를 선천적 능력이다. 따라서 그것의 부족은 교육받은 지식이나 기술의 부족으로 반드시 증명되지 않는다.” |
David Wechsler (1896 ~ 1981) 미국 심리학자 |
§ “지능은 목적적으로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개인의 총체적인 능력이다.” |
Hans Eysenck (1916 ~ 1997) 독일 태생 영국 심리학자 |
§ “만일 기존 문헌에서 지능 모델을 도출한다면, Spearman의 g, Thurstone의 기본 정신 능력들(정신 과정과 검사 자료에 따라서 집단을 구분한), 그리고 IQ를 속도, 지속성, 오류 체킹으로 세분화 한 것들의 합으로 제시하는 것이 현 시점에서는 가장 적절할 것이다.” |
Arthur Jensen (1923 ~ 2012), 미국 심리학자 |
§ “지능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무한히 다양한 여러 종합 심리검사들의 g요인이다…모든 표준화 지능검사에서 전체 변량의 가장 큰 성분이 g라는 사실 때문에 우리는 g가 ‘실생활’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추론하지 않을 수 없으며, 바로 그 g는 학문적 성취에서 훨씬 더 큰 변량을 구성하는 성분이다.” |
John L, Horn (1928 ~ 2006), 미국 심리학자 |
§ “지적 능력은 일반 수준에서 유동성 지능과 결정성 지능의 두 가지 일반 지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능력들은 독립적으로 작용하면서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하나는 유전이나 손상에 의해 지적 처리 과정이 구성되는 생리적인 구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동성 지능의 측정에서 가장 정확하게 반영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생리적 구조에 학습과 문화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정성 지능의 측정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
John B, Carroll (1916 ~ 2003), 미국 심리학자 |
§ “인지 능력의 3층 이론은 이전 이론들의 확장이다. 이 3층 이론은 인지 능력에서 어떤 종류의 개인차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이런 개인차의 종류들이 어떻게 서로 관련되어 있는지 명시한다. 이 이론은 인지 능력에 있어서 꽤 많은 뚜렷한 개인차가 있으며 그것들 간의 관계를 3층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즉 1층은 ‘좁은’ 능력, 2층은 ‘넓은’ 능력, 3층은 하나의 ‘일반’ 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
(2) 비네 검사
◆ 19세기 후반 Binet와 Simon(1905)은 프랑스 정부로부터 일반 학급에서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를 구별할 수 있는 검사 개발을 위탁받았음. 그들은 아동들의 지능을 측정하여
초등학교 정규 교육 과정을 수학할 능력이 없는 지체 아동을 판별할 목적의 평가 도구인
Binet-Simon Test(1905) 개발
◆ Binet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구조화된 과제에 대한 수행이 향상되므로 어떤 아동이 또래
아동보다 과제를 잘 해결하면 정신연령과 지능이 높다는 전제하에 정신연령(mental age)
개념 도입
◆ Binet-Simon Test는 3∼13세 아동에게 실시되었으나, 1908년과 1911년에 재표준화를
거치면서 대상 연령이 15세까지 확장되었음
◆ Terman(1916)은 미국 문화에 적절하도록 Binet-Simon Test의 문항을 수정하여
Stanford-Binet Test를 출판하였고 이후 Stanford-Binet Test는 5차례의 재표준화 및
개정. 국내에서도 Stanford-Binet Test 3판을 표준화한 고대-비네 검사(전용신,1970)가
출시 -Terman의 IQ 산출 방식은 Binet의‘정신연령’개념을 발전시킨 비율 IQ 개념에
근거하며 정신연령(MA)과 생활연령(CA)을 비교해서 공식화
(3) 웩슬러 검사
◆ 1939년 웩슬러(Wechsler) 성인용 지능검사 개발.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지능검사
중의 하나인 웩슬러 지능검사는 David Wechsler 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서 3종류가 있음
-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WAIS-R)
- 웩슬러 유아용 지능검사(WAIS-Ⅲ)
- 웩슬러 유아 및 초등용 지능검사(WPPSI)
◆ 편차지능지수 도입
'임상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26. 웩슬러 지능검사 (6) | 2023.11.19 |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25. 지능 모델의 변천 과정 (5) | 2023.11.18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23. 기타 임상 면접 유형 (8) | 2023.11.16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22. 면접과정 (4) | 2023.11.15 |
알기쉽게 정리한 시험에도 도움되는 임상심리학 요약 정리 21. 내담자와 관계 맺는 방식 (8) | 2023.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