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력개발과 활용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55. 계획적 변화 4단계 모형

반응형

55. 계획적 변화 4단계 모형

 

Ÿ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일반적인 모델이 없기 때문에 변화과정과 개입이론은 표준적
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음


1) 계획적 변화개입모델: 포라스 등(Porras & Silvers)

(1) 1단계 : 2가지 개입 전략 유형 구별
조직변신(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 OT)

● 조직개발(Organizational Development : OD)


(2) 2단계 : 변화개입과 목표변수 간의 관계
● 비전변수
- 목적, 사명, 신념, 원칙
● 직무설정변수
- 정책, 과정, 과업규칙, 직무내용설명서, 공식보고체계, 사회적 요인, 기술, 물리적 설정


(3) 3단계 : 개인의 인식변화 4가지 유형
● 인지변화를 몇몇 존재하는 조직적인 변수나 패러다임을 개인의 인지변화로 개념화 함
● 인지변화의 4가지 인식수준
- 알파변화는 구성원이 패러다임 안에서 조직구조의 변경(즉, 직무재설계 등)이 없는 수준
(기술향상 느낌 등)에서 변화를 인식할 때 가능함
- 베타변화는 개인이 현존하는 패러다임 안에서 조직구조의 변경 없이 약간의 가치변화
(작업표준이나 지침변화)를 인식할 때 가능
- 감마(A)변화는 개인이 새로운 변수를 비용축소는 물론 전체적인 질적인 면에 주안점을
두는 것으로써 산출물 지향 패러다임의 중심가치가 변화되는 현행 패러다임 안에서 조
직구조변화를 인식할 때 가능
- 감마(B)변화는 개인이 하나의 패러다임 안에서 새로운 가치를 담고 있는 다른 패러다임
으로의 바뀜을 인식할 때 가능(산출물 지향 패러다임을 고객 지향 패러다임으로 대체하
는 경우, 즉 강화된 개인적 변화)


(4) 4단계 : 향상된 조직성과, 강화된 개인발전
● 개인의 행동변화가 어떻게 두 가지 가능한 결과(향상된 조직성과, 강화된 개인발전)을 이끄는지 초점
● 조직성과: 효율성, 효과성, 생산성, 수익성 향상 결과
● 강화된 개인발전: 행동, 기술 또는 이 두 가지가 모두 변경되는 것, 향상된 업무습관, 업무성과 증가, 향상된 실행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