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평가모델의 구조
1) Kirkpatrick의 평가구조
n 커크패트릭의 4단계 평가 기준
(1) 1단계 : 반응(Reaction) 평가
● “훈련생들은 프로그램을 좋아하고 유용하다고 느꼈는가?”
●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훈련생들의 인식, 즉 만족도에 초점을 맞춤
● 긍정적인 반응일 때는 향후 실시될 프로그램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게 해주는 반면에, 부
정적인 반응일 때는 차후의 참여도를 저하시키며 훈련에서 얻은 능력이나 지식을 사용하
는 것을 꺼리게 만듦
(2) 2단계 : 학습(Learning) 평가
● “훈련생들은 교육훈련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 훈련생들의 학습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퀴즈나 테스트를 활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전 단
계에서 반응을 분석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방법
(3) 3단계 : 직무행동(Job Behavior) 평가
● “훈련생들은 교육훈련에서 배운 것을 실제 일에 적용하였는가?”
● 만약 학습된 것들이 실제 업무에 적용되지 않는다면, 교육훈련의 노력은 조직과 종업원들
의 효과성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게 됨
(4) 4단계 : 결과(Result)
● “교육훈련 또는 인적자원개발의 노력이 조직의 효과성을 향상시켰는가?”
● 분석하기 가장 어려운 단계 중 하나
● 직원들의 작업성과 외에도 다른 많은 것들이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
● 일반적으로 이 단계에서는 운영상의 경제적 자료가 수집되어 분석됨
●교육이 경영성과에 기여했는가를 보는 것
(5) 커크패트릭 평가의 장단점
● 장점
- 교육훈련 결과의 고찰방법 제시
● 단점
- 교육훈련 전체과정이 아닌 교육훈련 실시 후 결과에만 치중한 평가
- 다른 단계들 간의 명백한 관계에 관한 설명이 부족함
- 서로 다른 타입의 학습결과들을 상세하게 설명할 수 없음
- 측정된 결과들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한지에 관한 뚜렷
한 방향성이 부족함
2) Kirkpatrick의 평가구조의 보완(엘리저 등, Alliger & Janak, 1989)
n 커크패트릭 접근법을 확장, 모델이 가지고 있지 못한 점 보충
(1) 반응 평가
● 정서적 반응: 훈련생들의 프로그램 호감도
● 인식된 유용성: 교육훈련을 통해 느낀 유용성
(2) 학습 평가
● 교육훈련을 통해 훈련생들이 얼마나 배울 수 있는가?
● 자세변화, 지식 증진, 기술향상 등
(3) 행동 · 태도 평가
● 훈련을 통해 어떤 직무행동적 변화들이 생겨났는가?
(4) 결과 평가
● 실체적 결과
● 투자 대 이익
● 사회 전반, 지역사회 기여도
3) CIPP 모형
● 미국 HRD 담당자들이 가장 선호함
● 평가 목적이 의사 결정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생산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보는 관점
● CIPP모형은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성과평가(product evaluation) 네 가지
(1) 상황(Context) 평가
● 체제 분석, 자료 검토, 의견조사, 의견청취, 면담
● 제반 상황정보를 제공, 계획을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필요함
(2) 투입(Input) 평가
● 유용한 인적 · 물적자원 분석, 적절성 · 경제성 있는 절차설계의 분석
● 대안적 프로젝트의 설계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결정을 위해 필요함
(3) 과정(Process) 평가
● 절차상의 장애요인 점검, 스텝과의 계속적인 상호작용과 행동관찰
● 방법론과 실시에 관련된 결정을 내리기 위해 필요함
(4) 성과(Product) 평가
● 핵심 관련 집단의 산출 판단 자료수집, 질적 및 양적 분석 수행
● 영향 평가, 프로그램의 순환결정을 내리기 위해 필요함
n 프로그램 평가방법에 있어 기록적 방법을 강조하였으나 가치에 대해 소홀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음
4) 합리적 평가와 자연적 평가 과정 제시(Bhola)
(1) 합리적 평가(rationalistic evaluation)
● 합리적 평가의 장점은 변수들이 명확히 정의될 수 있고 적절한 통제가 가해질 수 있을 때
차이, 변이, 상관관계 등을 훌륭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
● 단점은 평가 질문들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방법과 분석방식에 맞추려고 하다 보니 미미하
고 피상적인 질문들을 선택할 수 있고, 중요하지 않고 사용할 수 없는 결과 초래하기도 함
(2) 자연적 평가(naturalistic evaluation)
● 가장 근본적인 질문은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임
● 진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에 대해 사람들이 경험하여 얻게 되는 의미에 관심
● 장점은 대응적, 적응할 수 있고 총체적인 것을 강조하고, 평가활동을 인간적으로 만드는 것
● 단점은 평가자의 자질이 중요시되며, 여러 면에서 합리적 평가보다는 실시하기 어려움
'인력개발과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8. 평가의 윤리성 (2) | 2023.05.28 |
---|---|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7. 평가도구의 설계 (6) | 2023.05.27 |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5. 평가의 목적과 과정 (7) | 2023.05.26 |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4. 실무훈련과 인력개발 및 전략적 교육훈련 (5) | 2023.05.26 |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3. 교육훈련방법 (7)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