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교육훈련의 전이
1) 교육훈련 전이(Transfer)의 정의
○ 종업원들이 직무 밖의 교육훈련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직무에 효과적으로 응용하는 정도
2) 교육훈련 전이의 유형
(1) 무전이(zero transfer)
○ 학습내용이 직무성과에 연결 안 될 때
○ 이는 교육훈련에서 배운 내용이 직무성과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2)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
○ 학습내용이 이전에 학습된 직무행동과 충돌할 때 발생
○ 교육훈련에서 배운 내용이 직무성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을 때 발생
(3) 긍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
○ 학습내용과 과정이 학습자의 직무와 연계, 학습 효과 극대화
3) 교육훈련 전이 촉진 시 고려사항
(1) 학습자들의 능력, 성격, 동기 등 특성
○ 사람들은 변화하기를 싫어하고 변화에 대해 부정적인 성향을 가질 수 있음
○ 사람들이 열린 마음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
(2)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의 문제
○ 교육훈련의 내용과 방법이 교육훈련의 전이를 촉진하게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느냐 하는 것
○ HRD 부서가 결정적 역할을 담당
○ 현장직무의 필요를 반영, 교육훈련 참가자들에게 알려주어 학습준비도를 높임
○ 동기유발을 위한 적절한 과제를 내주며, 개인학습, 그룹학습을 장려
○ 올바른 평가방법을 고안하여 실시
(3) 업무환경
○ 학습 결과의 적용 기회, 시설, 장비 / CEO의 의지 / 조직문화
○ 교육훈련을 통해 배운 것은 많았으나 이를 적용해볼 기회가 주어지지 않거나 시설 · 장비
등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교육훈련 내용을 활용할 수 없게 됨
○ 이러한 기회나 장비 등이 마련되어 있는지 세심한 배려가 필요
○ 발전을 위한 노력을 가치 있게 보는 조직풍토가 조성되어 있어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학습하는 것을 장려
○ 때로는 새로운 시도를 감행할 경우 실수하는 것에 대해 관대한 조직화도 교육훈련의 전이를 촉진하는 데 영향을 미침
○ 상사의 지지, 동료들 간의 역할관계 등도 고려할 수 있음
(4)동기부여
○ 개인적인 보상, 인사 평가에 반영
○ 개인적인 보상 등 보상체계를 적절히 제공 필요
○ HRD 담당자들은 훈련의 전이를 촉진하기 위해 다른 부서들의 역할을 조정 · 독려하는 일을 담당해야 함
○ 교육훈련 전이의 중요성을 조직에 알리고 조직의 다른 관리자들과 함께 업무성과 향상과
관련된 결정을 내리면서 전이전략을 실행해 나가는 자세가 요구됨
'인력개발과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4. 실무훈련과 인력개발 및 전략적 교육훈련 (5) | 2023.05.26 |
---|---|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3. 교육훈련방법 (7) | 2023.05.25 |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1. 기업의 HRD 유형 (12) | 2023.05.24 |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0.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 실행의 기본 (3) | 2023.05.24 |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29. 교육과정의 파일럿 실시 (18)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