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력개발과 활용

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32. 교육훈련의 전이

반응형

32. 교육훈련의 전이

1) 교육훈련 전이(Transfer)의 정의
종업원들이 직무 밖의 교육훈련과정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직무에 효과적으로 응용하는 정도


2) 교육훈련 전이의 유형
(1) 무전이(zero transfer)
○ 학습내용이 직무성과에 연결 안 될 때
○ 이는 교육훈련에서 배운 내용이 직무성과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2) 부정적 전이(negative transfer)
○ 학습내용이 이전에 학습된 직무행동과 충돌할 때 발생
○ 교육훈련에서 배운 내용이 직무성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았을 때 발생
(3) 긍정적 전이(positive transfer)
○ 학습내용과 과정이 학습자의 직무와 연계, 학습 효과 극대화


3) 교육훈련 전이 촉진 시 고려사항

(1) 학습자들의 능력, 성격, 동기 등 특성
○ 사람들은 변화하기를 싫어하고 변화에 대해 부정적인 성향을 가질 수 있음
○ 사람들이 열린 마음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


(2)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의 문제
○ 교육훈련의 내용과 방법이 교육훈련의 전이를 촉진하게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느냐 하는 것
○ HRD 부서가 결정적 역할을 담당
○ 현장직무의 필요를 반영, 교육훈련 참가자들에게 알려주어 학습준비도를 높임
○ 동기유발을 위한 적절한 과제를 내주며, 개인학습, 그룹학습을 장려
○ 올바른 평가방법을 고안하여 실시


(3) 업무환경
○ 학습 결과의 적용 기회, 시설, 장비 / CEO의 의지 / 조직문화
○ 교육훈련을 통해 배운 것은 많았으나 이를 적용해볼 기회가 주어지지 않거나 시설 · 장비
등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교육훈련 내용을 활용할 수 없게 됨
○ 이러한 기회나 장비 등이 마련되어 있는지 세심한 배려가 필요
○ 발전을 위한 노력을 가치 있게 보는 조직풍토가 조성되어 있어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학습하는 것을 장려
○ 때로는 새로운 시도를 감행할 경우 실수하는 것에 대해 관대한 조직화도 교육훈련의 전이를 촉진하는 데 영향을 미침
○ 상사의 지지, 동료들 간의 역할관계 등도 고려할 수 있음


(4)동기부여
○ 개인적인 보상, 인사 평가에 반영
○ 개인적인 보상 등 보상체계를 적절히 제공 필요
○ HRD 담당자들은 훈련의 전이를 촉진하기 위해 다른 부서들의 역할을 조정 · 독려하는 일을 담당해야 함
○ 교육훈련 전이의 중요성을 조직에 알리고 조직의 다른 관리자들과 함께 업무성과 향상과
관련된 결정을 내리면서 전이전략을 실행해 나가는 자세가 요구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