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사회심리학 : 사회인지
1. 사회심리학
- 사회심리학의 정의
⋅타인에 대한 우리의 생각, 대인 관계와 집단에서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심
리학의 분야
- 사회인지의 정의 (social cognition)
⋅사람들이 사회적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세계에 대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저장하고, 기억하고, 사용하는 방식들에 관한 연구
분야
- 사회적 행동(Social behavior)
⋅개인, 대인관계 그리고 집단에서 사람들이 보이는 행동
2. 태도와 행동
- 태도
⋅태도는 일상에서 경험하는 사건들을 해석하는데 영향을 미침
⋅특정 사람, 문제 또는 대상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태도의 3요소
▹정서적 요소
▫특정 인물이나 문제 또는 대상에 대한 당신의 느낌
▹행동적 요소
▫특정 인물이나 문제 또는 대상에 대해서 특정방식으로 행동하는 경향성
▹인지적 요소
▫특정 인물이나 문제 또는 대상에 대한 당신의 신념과 지식을 의미
- 태도와 행동 간의 상호작용을 일으킴
- 태도를 통해 행동을 예측하기
⋅태도와 일관된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들
▹태도 강도가 강할 때
▹안정된 태도일 때
▹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태도일 때
▹개인에게 중요한 태도일 때
▹기억에서 쉽게 접근 가능할 때
- 행동이 태도에 영향을 미침
⋅무선적으로 할당된 태도에 대한 옹호가 사람들의 태도를 변화시킴
3. 태도와 인지
4. 인지부조화
- 인지부조화의 정의
⋅태도와 행동 또는 서로 관련된 두 개 이상의 태도나 신념, 행동들 간에 불일
치가 존재하며, 그러한 불일치로 인해서 심리적 긴장상태가 초래됨
⋅각성 수준이 고조되고 이러한 높은 수준의 각성은 불편감을 야기함. 이러한
경우 사람들은 태도들 간의 충돌을 해소하여 부조화를 없애거나 감소시키도록 동기화됨
- 부조화 이론
⋅두 개 이상의 태도, 신념 또는 행동들 간의 불일치를 감소시키려 하는 이론
- 부조화 감소 방법 3가지
1) 간접적 전략
▹문제가 되고 있는 영역이 아닌 삶의 다른 영역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서 좋
게 느끼려고 시도함
2) 직접적 전략
▹태도나 행동을 실제로 바꿔서 비일관성을 해소함
3) 불일치를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치부함
▹대립하는 두 태도 간 (혹은 태도, 신념, 행동 간) 불일치를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치부해버림
5. 태도변화 : 설득
- 설득의 정의
⋅사람들의 태도를 바꾸려는 시도
- 정교화 가능성 모형
⋅설득은 중심 경로와 주변 경로의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
⋅중심 경로
▹누군가 주장하는 내용을 주의 깊게 분석하고 신중하게 정보처리
⋅주변 경로
▹주장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설득자의 매력과 전문성, 제시된 주장의 수, 다
른 사람들의 반응 정도에 의해 설득되어짐
⋅단순 노출 효과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그 대상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형성
- 설득력 있는 사람들
⋅매력적인 사람이나 전문가
⋅말을 빨리 하는 사람
⋅정직해 보이는 사람
- 설득 메시지
⋅공포와 같은 정서를 경험할 경우 더욱 효과적
⋅주의 기울이지 않을 때 설득력 효과가 높음
- 사회인지신경과학
⋅정의 : 사회인지의 심리 과정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에 관여하는 뇌 수준의
기제를 신경과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하는 분야
- Liberman의 선택 후 부조화 실험
⋅뇌 손상으로 인한 기억상실증 환자를 연구
⋅결과 : 의식적으로 인지부조화 자각 없이도 인지부조화 감소기제 관찰
6. 고정관념
- 고정관념의 정의
⋅특정 범주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믿음(혹은 신념들의 집합)
- 고정관념의 범주
⋅인종, 성별, 사회적 지위, 종교, 국적, 머리카락 색깔, 스포츠, 취미 등 매우 다양
- 인지적 지름길로서의 고정관념
⋅다양하고 엄청난 양의 사회적 정보를 간명하게 범주화해줌
⋅사람들의 구체적 특성에 관한 조리 있고 정연한 설명이라기보다는 대략적인
수준의 묘사
⋅특정 집단에 속한 사람이 실제로 지니고 있는 특성과 그 집단 전체에 대한
고정관념 간의 차이는 클 수 있음
⋅사람들은 자신의 고정관념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하위집단을 생성해내
기 때문에 고정관념을 바꾸거나 없애는 일은 어려움
7. 편견
- 편견의 정의
⋅특정 집단의 구성원들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적 태도
- 편견의 2가지 요소
⋅인지적 요소 : 특정집단에 대한 신념, 기대
⋅정서적 요소 : 전반적인 부정적 감정
- 차 별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 태도로 인해서 그 집단 구성원들에 대해서 부정적인 행동을 가하는 것
⋅차별의 범주
▹성별, 인종, 사회적 지위, 머리카락 색깔, 종교, 소속 대학 등 고정관념과 마찬가지로 매우 다양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40. 사회적 행동 :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6) | 2023.04.08 |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39. 사회심리학 : 사회인지와 사회적 행동 (4) | 2023.04.07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37. 정신장애의 치료 : 생물학적 치료와 다양한 치료 (9) | 2023.04.05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36. 정신장애의 치료 : 인지행동 치료 (4) | 2023.04.04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35. 정신장애의 치료 : 통찰지향적 치료 (1)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