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개론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38. 사회심리학 : 사회인지

반응형

38. 사회심리학 : 사회인지

 

1. 사회심리학
- 사회심리학의 정의
타인에 대한 우리의 생각, 대인 관계와 집단에서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리학의 분야
- 사회인지의 정의 (social co
gnition)
사람들이 사회적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세계에 대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저장하고, 기억하고, 사용하는 방식들에 관한 연구
분야
- 사회적 행동(Social
behavior)
개인, 대인관계 그리고 집단에서 사람들이 보이는 행동


2. 도와
-
도는 일상에서 경하는 사건들을 해석하는영향을 미
특정 사람, 문제 또는 대상에 대한 전반적인
도의 3요소
정서적 요소
특정 인물이나 문제 또는 대상에 대한 당신의 느낌
행동적 요소

특정 인물이나 문제 또는 대상에 대해서 특정방식으로 행동하는 경향성
인지적 요소
특정 인물이나 문제 또는 대상에 대한 당신의 신념과 지식을 의미
-
도와 행동 간의 상호작용을 일으
- 도를 통해 행동을 예측하기
도와 일관된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들
도 강도가 강할 때
정된 도일 때
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도일 때
개인에게 요한 도일 때
기억에서 근 가능할 때
- 행동이
도에 영향을 미
무선적으로 할당된 도에 대한 호가 사람들의 도를 화시


3. 도와 인지

4. 인지부조화

- 인지부조화의 정의
도와 행동 또는 서로 관된 두 개 이상의 도나 신념, 행동들 간에
치가
재하며, 그일치로 인해서 심리적 장상가 초
각성 수준이 고조고 이은 수준의 각성은 불편감을 야기함. 이
경우 사람들은
도들 간의 충돌을 해소하여 부조화를 애거나 감소시도록 동기화
- 부조화 이론
두 개 이상의 도, 신념 또는 행동들 간의 일치를 감소시려 하는 이론
- 부조화 감소 방
3가지
1) 간
적 전략
문제가 고 있는 영역이 아닌 삶의 다른 영역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서
게 느려고 시도함
2)
직접적 전략
도나 행동을 실제로 서 비일관성을 해소함
3)
일치를 요하지 않은 것으로 치부함
하는 두 도 간 (혹은 도, 신념, 행동 간) 일치를 요하지 않은 것으로 치부해

 

5. 도변화 : 설
- 설의 정의
사람들의 도를 려는 시도
- 정
화 가능성 모형
심 경로와 주경로의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
심 경로
누군가 주장하는 내용을 주의 게 분석하고 신하게 정보처리
경로
주장의 내용과는 무관하게 설자의 력과 전문성, 제시된 주장의 수, 다
른 사람들의 반
정도에 의해 설득되
노출 효과
적으로 노출어 그 대상에 대해 호의적 도를 형성
- 설
력 있는 사람들
력적인 사람이나 전문가
리 하는 사람
해 보이는 사람
- 설
득 메시지
포와 같은 정서를 경할 경우 더효과적
주의 기울이지 않을 때 설력 효과가
- 사회인지신경과학
정의 : 사회인지의 심리 과정들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에 관여하는 뇌 수준의
기제를 신경과학적 연구방
을 통해 연구하는 분야
-
Liberman의 선후 부조화 실
상으로 인한 기억상실증 환자를 연구
결과 : 의식적으로 인지부조화 자각 이도 인지부조화 감소기제 관찰

 

6. 고정관념
- 고정관념의 정의
특정 주에 한 사람들에 대한 믿음(혹은 신념들의 집합)
- 고정관념의

, 성, 사회적 지위, 종교, 적, , 스포, 미 등 우 다양
- 인지적 지
름길로서의 고정관념
다양하고 양의 사회적 정보를 간명하게 주화해
사람들의 구체적 특성에 관한 조리 있고 정연한 설명이라기보다는 대략적인
수준의

특정 집단에 한 사람이 실제로 지고 있는 특성과 그 집단 전체에 대한
고정관념 간의 차이는
수 있음
사람들은 자신의 고정관념을 유지하기 위해 임없이 하위집단을 생성해내
기 때문에 고정관념을
거나 애는 일은 어려움


7. 편견
- 의 정의
특정 집단의 구성들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적
-
의 2가지 요소
인지적 요소 : 특정집단에 대한 신념, 기대
정서적 요소 : 전반적인 부정적 감정
- 차

특정 집단에 대한 부정적 도로 인해서 그 집단 구성들에 대해서 부정적인 행동을 가하는 것

, 인, 사회적 지위, , 종교, 소대학 등 고정관념과 마가지로 우 다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