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언어와 사고
1. 근본 특징 : 무엇이 언어를 언어답게 만드나?
- 언어 산출
⋅단어, 구 , 문장을 이용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능력
- 언어 이해
⋅단어, 구, 문장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이해하는 능력
- 언어의 근본 특징
⋅음운론 : 특정 언어의 단어들에 있는 소리들의 구조
⋅통사론 : 문장에 있어서의 내적인 구조. 문법에 의해 결정 됨
⋅의미론 : 단어나 구, 문장의 의미
⋅화용론 : 함축을 통해 간접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에 관한 언어 규칙
2. 언어의 측면 : 음운론
- 음 소 (Phonemes)
⋅말소리의 기본 구성 요소
⋅사람은 100개 정도 생성할 수 있음
⋅언어에 따라 사용하는 음소가 다르다.
⋅불어의 부드러운 ‘r’ 을 영어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일본어에서는 ‘r’ 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3. 언어의 측면 : 통사론
- 단어들을 조합해서 문장을 만드는지에 관한 규칙
- 문장의 통사구조는 그 언어의 문법에 의해 결정됨
4. 언어의 측면 : 의미론
- 언어가 유용하려면 의미를 잘 전달해야 한다.
- 단어, 구, 그리고 문장의 의미가 중요함
- 형태소
⋅의미의 최소 단위
- 의미론과 통사론의 관계
⋅문장 예시) “Colorless green ideas sleep furiously.”
⋅문장 예시) “Fastly dinner eat, ballgame soon start.”
⋅문장의 의미와 통사 구조는 별개이지만 상호작용 관계
5. 언어의 측면 : 화용론
- 주장이나 부탁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함축을 통해 간접적으로 단어나 문장이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
⋅문장 예시) “Do you know what time it is?” ⋅은유와 유머의 기초 |
- | “Yes.” |
6. 이중언어
- 제2 언어 학습
⋅제2 외국어를 배울 때는 의미론적 학습(어휘 학습)과 음운론적 학습(발음 학
습)이 다름
⋅성인이 되면 의미론적 학습은 잘 일어나지만 음운론적 학습은 어려움
- 이중 언어와 뇌
⋅언어의 이해시 어린아이나 성인 모두 좌측 측두엽 부분의 활성은 공통적이지
만 성인이 되어 제2언어를 습득한 사람이 제2언어를 말할 때 좌측 전두엽의
일부분이 활성화 된다. (작업 기억의 활성)
⋅음악 능력이 좋은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외국어 단어 발음을 더 잘
학습할 수 있었다.
⋅학교 교육을 더 많이 받을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제2언어를 습득하기가 쉬움
7. 사고
- 사 고
⋅심상이나 지식을 사용하는 마음의 작용
- 심 상
⋅감각을 통해 들어온 정보를 등록하는 지각 과정에서 생기는 것과 유사한 심
적 내용
- 사고와 언어의 관계
⋅사고는 언어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언어상대성 가설)
⋅사용하는 언어가 사고를 제한한다.
⋅언어상대성 가설의 결과는 일관적이지 않다. 그러나 언어, 기억, 지각 간에는 관련이 있다.
'심리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5. 지능 (3) | 2023.03.14 |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4. 사고와 문제해결 (12) | 2023.03.13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2. 인지학습과 사회학습 (5) | 2023.03.10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1. 조작적 조건 형성 (7) | 2023.03.09 |
심리학과,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등 심리학개론 이론 정리 10. 학습-고전적 조건 형성 (11) |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