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학

간호사 & 간호조무사 시험에 나오는 대비 성인간호학 필수 요점 정리 4. 혈액계

반응형

4. 혈액계


01 혈액계 구조 및 기능


1. 혈액의 구성
1) 적혈구(red blood cell, RBC)
(1) ‌기능 :‌ 조직으로의‌ 산소‌ 운반,‌ 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진‌ CO2와‌ H+를‌ 처리
(2) ‌생성‌ 필요조건
①‌ 철(iron)‌
‌ • 체내‌철의‌2/3가‌적혈구의‌헤모글로빈‌성분‌▶ 부족 시 철 결핍성 빈혈
‌ • 함유식품:‌붉은‌육류(살코기),‌간,‌굴,‌과일,‌녹색채소(시금치,‌부추),‌건포도
②‌ Vit.‌B12:‌적혈구‌생성과‌성숙과정의‌DNA 합성에‌필요한‌물질‌함유
③‌‌ 내인성‌인자(intrinsic‌factor):‌위벽의‌벽 세포에서‌생성되는‌Vit. B12의‌장관‌흡수에‌필요한‌인자
▶ 내인성 인자 결핍되면 비경구적으로 Vit. B12 공급
④‌ 엽산(folic‌acid):‌적혈구의‌성숙과정의‌DNA,‌RNA‌합성에‌필요

 

2)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1) ‌기능:‌식균작용으로‌ 미생물이나‌ 다른‌ 해로운‌ 물질의‌ 침입에‌ 대해 신체 방어
(2) 종류

  세포 기능
과립구
(리소좀 효소
함유
▶ 식균작용)
호중구(neutrophil)
(
65%)
•침입한‌ 외부‌ 물질의‌ 첫‌번째‌ 방어선
•탐식‌및‌ 살균작용
호산구(eosinophil)
(
2~4%)
•‌알레르기‌ 반응에서‌ 항원-항체‌ 복합체‌ 포획‌‌
▶ 알레르기성 질환 시 수치 상승(항알레르기 작용)•기생충‌감염으로부터‌보호
호염기구(basophil)
(
0.5%)
과립내‌ 히스타민‌등‌ 염증‌매개체를‌ 저장하고‌ 있다가‌ IgE에‌ 특이‌ 항원이‌
결합하면‌ 즉각적‌과민 반응‌ 증상

3) 혈소판(platelet)
부착(adhesion),‌분비(secretion),‌응집(aggregation)‌과정‌ 통해‌ 지혈 기전‌ 담당

 

2. 혈액의 기능
1)‌ 운반:‌산소‌운반,‌영양소‌운반,‌호르몬‌운반‌
2)‌ 조절:‌체온조절‌
3)‌ 방어:‌신체방어‌

 

3. 혈액응고과정(hemostasis)
1)‌ 1차‌지혈‌▶ 혈관, 혈소판 반응

2)‌ 2차‌지혈‌▶ 응고인자
(1)‌응고‌1단계
‌ ①‌‌ 내인계(intrinsic‌pathway):‌혈장‌thromboplastin 을‌형성‌▶ 관련 응고 검사: aPTT
‌ ②‌‌ 외인계(extrinsic‌pathway):‌완전한‌thromboplastin 을‌형성‌▶ 관련 응고 검사: PT
(2)‌‌ 응고‌2단계:‌ 트롬보플라스틴이‌Ca2+의‌ 존재‌하에서‌ 프로트롬빈(prothrombin)을‌ 트롬빈(thrombin)으로‌ 전환
(3)‌ 응고‌3단계:‌ 트롬빈이‌ 피브리노겐(fibrinogen)을‌ 피브린(fibrin)으로‌ 전환

4. 관련 약물
1) 항혈소판 제제(antiplatelet agents)
(1) ‌작용:‌급성‌심근경색‌및‌ 심혈관,‌뇌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사용
(2)‌ 약물:‌Aspirin,‌ticlopidine,‌clopidogrel‌등

 

2) 항응고제(anticoagulants)
(1)‌ 작용:‌혈전‌및‌ 색전‌ 형성‌방지
(2)‌‌ 헤파린(heparin):‌피브린을‌ 형성하는‌ thrombin의‌ 작용‌억제,‌ antithrombinⅢ의‌ 항응고‌작용(혈전‌방지)의‌ 촉진‌
기전‌▶ aPTT 모니터링해야 함
(3)‌‌ 경구용‌ 항응고제:‌warfarin(Coumarin):‌PT(프로트롬빈‌시간)‌모니터링해야‌함,‌임신‌시‌금기

 

3) 섬유소 용해제(혈전용해제)
(1)‌ 적응증:‌급성심근경색,‌뇌경색에서‌사용
(2)‌ 대표‌약물:‌u-PA,‌t-PA



02 혈액계 기능 사정(진단검사)


1. 혈액검사
1) 전혈구 검사(complete blood count, CBC)

검사 정상수치 의미
적혈구(RBC) 남:‌450만~600만/mm3
여:‌400만~500만/mm3
•순환하는‌ 총‌적혈구‌수‌ 측정
•빈혈‌구분
혈색소(hemoglobin) 남:‌13~18g/dL
여:‌12~16g/dL
적혈구의‌ 산소운반 능력‌평가‌
‌↑‌적혈구 증가증,‌탈수‌
‌↓‌빈혈,‌수분과잉섭취‌
헤마토크릿(hemato
crit)
남:‌41~51%
여:‌36~45%
총‌혈량‌중‌ 적혈구가‌ 차지하는‌ 용적비‌
‌↑‌적혈구증가증,‌탈수,‌체액손실‌
‌↓‌빈혈‌
백혈구(WBC) 4,000~11,000/mm3 순환하는‌ 총‌백혈구‌수‌ 측정
‌↑‌급성감염
‌↓‌감소‌시‌침입물질에‌방어‌못하므로‌위험‌

 

2) 혈액응고검사

검사 정상수치 의미
프로트롬빈 시간
(
prothrombin time, PT)
약‌11~15초 •‌ 혈액응고의‌ 외인성‌ 경로‌측정(thromboplastin‌첨가)‌
▶ warfarin 치료 감시(PT 먼저 연장→ aPTT도 연장)
•‌ 응고작용‌비정상‌선별
▶ ↑(시간지연): 항응고제 사용, 응고인자 결핍, Vit. K
결핍, DIC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약‌30~50초 •‌ 혈액응고의‌ 내인성‌ 경로‌측정(partial‌throm
boplastin‌첨가)‌‌▶ heparin 치료 감시
▶ ↑(시간지연): 응고장애


03 혈액계 대상자의 일반적 간호


1. 출혈 예방
1)‌ 구강 간호:‌부드러운‌ 칫솔‌사용,‌치실‌ 사용‌금지
2)‌ 기립성‌ 저혈압‌있는‌ 환자는‌ 천천히‌기동‌
3)‌ 침습적‌ 처치‌제한‌▶ 직장 체온계, 좌약, 관장, 질정제, 탐폰
4)‌ 아스피린‌제제,‌항응고제‌사용‌제한‌▶ 아스피린은 출혈 경향 증가

2. 출혈 조절
1)‌출혈부위는‌ 심장‌위로‌ 상승
2)‌위장관‌ 출혈‌시‌ 차가운‌ 생리식염수‌ 세척



04 적혈구 장애


1. 빈혈(anemia)
1) 정의
순환‌ 적혈구의‌ 양이‌ 조직‌ 내‌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할‌ 만큼‌감소 된‌ 상태‌
▶ 안정 통해 산소요구량 줄여 순환 산소량 증가시켜야 함


2) 영양결핍성 빈혈
(1)‌ 철 결핍성‌빈혈
①‌‌ 정의:‌저장철의‌결핍‌→‌적혈구‌생성의‌ 저하(hypoproliferative‌anemia)‌▶ 철결핍성 빈혈
②‌ 주원인:‌영양‌부족‌▶ 다이어트, 흡수장애(위절제술 등)
③‌ 소구성‌저색소성‌빈혈
④‌ 철분(ferrous‌sulfate)‌경구 투여‌시‌ 주의사항
‌ •‌ 음식이‌ 철‌ 흡수를‌ 방해 할‌ 수‌ 있으므로‌ 공복‌시‌ 투여‌원칙
‌ •‌ 식전‌ 1시간‌복용:‌십이지장‌점막‌ 가장‌산성화(철은‌ 산성‌환경에서‌ 가장‌ 잘‌ 흡수)‌ ‌ ‌
cf 위장 자극 증상으로 계속 복용을 못하는 경우‌▶ 식후 즉시 복용
‌ •‌ Vit.‌C‌or‌오렌지 주스와‌ 섭취:‌ 철분 흡수‌도움(위장이‌ 산성일‌때‌ 흡수율‌ 빠름)‌
‌ •‌ 액체 제제의‌경우‌ 희석시켜‌ 빨대로‌ 복용‌▶ 치아 변색 예방
‌ •‌ 부작용:‌ 속 쓰림,‌변비‌설사
‌ ‌ -‌ 고섬유 식이‌섭취:‌변비 예방
‌ ‌ -‌‌ 제산제‌섭취:‌속 쓰릴‌경우‌ 철분 복용과‌시간차를‌ 두어‌ 복용‌▶ 제산제는 철분흡수 방해
‌ ‌ -‌ 변의‌ 색깔이‌ 짙어짐을‌ 설명(정상)
⑤‌ 비경구‌투여
‌ •‌ 근육주사:‌Z-track‌기법(0.5cc‌공기와‌함께‌둔부에‌주사)‌▶ 주사 후 걷도록 하여 약물 흡수 촉진(마사지 금지)
‌ •‌ 정맥주사:‌경구용‌ 철분제제의‌ 부작용을‌ 견딜‌ 수‌ 없는‌ 환자‌ 출혈이‌ 심한‌ 환자‌
⑥‌ 철분 함유‌식이:‌붉은‌육류,‌간,‌콩,‌계란‌노른자,‌건포도,‌당근‌등

(2)‌거대적아구성‌빈혈

  Vit. B12결핍성 빈혈(악성빈혈) 엽산결핍성 빈혈
원인 Vit.‌B
12‌섭취‌부족‌
•위장관‌흡수장애,‌위전절제술‌
‌‌
▶ Vit. B
12 위장관에서 흡수 방해받음
•엽산‌섭취‌부족:‌녹색야채,‌과일‌등‌
•엽산요구량‌증가:‌임신,‌투석‌등‌
증상 •공통증상:‌구내염(매끄럽고‌빨간‌혀),‌식욕부진,‌오심·구토,‌복통,‌변비나‌설사
•악성빈혈에서만‌나타나는‌증상:‌증상의‌완화와‌완화의‌교대,‌신경증상‌나타남
 
진단 Schillingtest(+):‌
Vit.‌B
12‌경구투여(방사성‌코발트)‌+‌IM‌투여
▶ 소변내 Vit. B12 감소: 소장의 흡수장애 의미
엽산결핍과‌Vit.‌B12결핍‌감별진단‌해야‌함
치료 및
간호중재
Vit.‌B
12‌평생‌동안‌매달‌근육주사(비경구‌투여)
▶ 내인자 없으므로 경구로 투여해도 흡수 불능
•엽산함유‌높은‌식품‌섭취나‌엽산‌경구투여
•‌ 흡수불량‌시‌비경구투여(근육주사)‌→‌추후‌경구투여‌‌
 

 

3) 재생불량성 빈혈(골수부전성 빈혈)
(1)‌ 정의:‌골수의‌조혈 조직이‌감소되어‌범혈구‌감소증(pancytopenia)‌발생
(2)‌ 증상‌및‌진단
①‌ 범혈구감소증(pancytopenia):‌적혈구,‌백혈구,‌혈소판‌감소
②‌ 정구성‌정색소성‌빈혈:‌적혈구‌크기와‌혈색소‌함량은‌정상
③‌ 망상적혈구‌수치‌낮음
(3)‌ 치료‌및‌간호중재
①‌ 원인물질‌확인·제거‌▶ 골수기능을 위축시키는 약품 및 물질 사용 중단
②‌ 범혈구감소증‌개선
‌ •‌ 골수이식(조혈모세포‌이식):‌45세‌이전의‌수혈을‌받지‌않은‌젊은‌환자에게‌효과가‌좋음
‌ •‌ 면역억제요법:‌면역억제제를‌투여‌골수기능의‌회복을‌목적으로‌함
‌ •‌ 혈소판‌수혈
③‌ 보존적‌치료만으로‌장기‌생존이‌가능‌▶ 무균법 적용

 

4) 용혈성 빈혈
(1)‌ 정의:‌적혈구‌수명이‌간헐적‌또는‌지속적으로‌감소가‌특징
(2)‌ 증상:‌황달,‌비장종대,‌간비대,‌담석증(색깔있는‌담석을‌생성)
(3)‌ 합병증:‌신부전
(4)‌ 진단
①‌ 대식세포에‌의해‌파괴되는‌적혈구‌수‌비정상적으로‌증가
②‌ 간접‌빌리루빈‌농도‌증가:‌소변과‌대변의‌유로빌리노겐의‌배설‌증가

2.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1) 정의
혈액에‌적혈구‌농도가‌증가된‌상태
2) 합병증
혈전,‌색전,‌출혈
3) 치료 및 간호중재
(1)‌혈액의‌점도‌낮춤(적혈구‌증가에‌따른‌혈전증‌예방):‌수분섭취‌증가,‌활동‌권장
(2)‌‌ 혈전증이‌일어날‌수‌있는‌위험요인‌제거:‌금연,‌고혈압‌관리,‌고지혈증‌관리,‌체중관리‌등



05 백혈구 장애


1. 백혈병(leukemia)

1) 정의
혈액과‌골수,‌비장,‌림프절‌등에‌미분화된‌백혈병‌세포들이‌비정상적으로‌증식하는‌혈액‌악성질환

2) 증상
(1)‌‌ 백혈구‌증가:‌간,‌비장,‌림프선,‌골수‌등에‌축적되어‌비대‌▶ 인접장기 압박하여 각종 통증 유발
(2) ‌호중구‌과도파괴‌→‌무과립세포증‌▶ 심한 감염(발열)
(3)‌ 적혈구감소(빈혈):‌만성‌피로,‌허약감,‌창백,‌통증
(4)‌ 혈소판감소증:‌출혈경향(점상·반상‌출혈),‌치은,‌피하,‌비출혈,‌멍‌등

3) 간호중재
(1)‌ 감염예방:‌방문객‌및‌직원‌엄격‌통제,‌병실에‌나무,‌생화‌두지‌않음‌
(2)‌ 출혈예방‌
①‌ 침습적‌행위‌금지‌
②‌ 구강위생‌시‌치실‌및‌거친‌칫솔‌사용‌금지‌▶ 면봉이나 솜 사용
③‌ 코풀기,‌코후비기,‌배변‌시‌지나친‌긴장‌피함‌
④‌ Aspirin‌함유‌약물‌금기‌▶ acetaminophen(Tylenol)사용
(3)‌ 안정‌및‌진정:‌8시간‌이상의‌수면,‌잦은‌휴식

 

2. 호중구 감소증(neutropenia)
1) 증상
(1)‌ 항생제‌치료‌없을‌시‌보통‌1주일‌내‌사망‌
(2)‌‌ 감염증상:‌발열,‌발적,‌부종,‌작열감,‌빈뇨,‌질소양감,‌구강‌및‌인후‌점막의‌궤양,‌인후통

2) 진단
(1)‌‌ 호중구‌감소가‌현저함:‌<‌1,500/mm3‌‌
cf ‌중등도 위험 < 1,000/mm3, 고위험 < 500/mm3
(2)‌무과립구증:‌200/mm3‌이하

3) 치료 및 간호중재
(1)‌감염징후‌관찰(특히‌fever)‌
(2)‌보호적‌격리술:‌접촉‌제한,‌방문객‌제한,‌독방사용,‌병실에‌꽃이나‌화분‌두지‌않음
(3)‌식이:‌고단백,‌고비타민,‌고탄수화물‌식이‌ cf ‌but!‌날 음식, 생과일, 생야채 등 제한
(4)‌질정‌및‌좌약‌삽입(관장)‌금함‌▶ 변비완화제로 대체
(5)‌충분한‌휴식‌및‌안정



06 조혈 장애


1. 림프종(lymphoma)

1) 정의
림프구의‌조절할‌수‌없는‌증식‌

2) 분류

  호지킨병(Hodgekin’s disease) 비호지킨병(nonhodgekin’s disease)
정의 림프절에‌Reed-sternbergcell‌과다증식
(쌍안경을‌낀‌듯한‌특징적‌세포)
림프조직의‌악성‌종양‌중‌하나
Reed-sternberg cell 없음
증상 •‌ Bsymptom:‌체중감소,‌열,‌야간발한‌중‌하나라
도‌있으면‌양성
•‌ 잠행성‌진행:‌한쪽‌경부림프절증대‌
▶ 림프절이 커져 주위장기 압박(액와, 서혜부, 반대
쪽 림프절까지 침범)
•국소성인‌경우가‌많음
•무통성‌림프절‌비대
1~2주‌내‌급속히‌비대
•종격동,‌복강‌내‌침범
•예후‌나쁨:‌분류에‌따라‌
1~7년‌후‌사망


07 혈소판·출혈·응고 장애


1. 감소증  지혈 장애
1)‌정의:‌혈소판‌수의‌감소‌<‌140,000/mm3

2)‌증상:‌점상출혈,‌반상출혈,‌자반증
3)‌치료‌및‌간호중재‌
(1)‌침습적‌처치‌제한:‌근육주사‌피함,‌직장‌체온,‌직장‌투여‌제한‌
(2)‌보행‌시‌편안한‌신발‌제공‌

2. 혈우병
1) 정의
(1)‌유전성‌응고장애로,‌응고인자‌장애로‌출혈경향‌증가(피가‌멎지‌않음)
(2)‌성염색체(×)로‌유전되는‌열성질환‌▶ 남성에서만 발생

2) 원인
(1)‌혈우병‌A:‌제8‌응고인자의‌부족
(2)‌혈우병‌B:‌제9‌응고인자의‌부족

3) 증상
(1)‌혈관절증(hemarthrosis)
(2)‌혈종:‌피하출혈이나‌근육‌혈종
(3)‌위장‌궤양,‌혈뇨

4) 진단
aPTT‌연장

5) 치료 및 간호중재
(1)‌유형에‌따른‌치료(항혈우인자‌투여)
(2)‌약물:‌섬유소용해효소‌억제제
(3)‌출혈조절
(4)‌통증조절
(5)‌부모에게‌출혈에‌대한‌대처방법‌교육하는‌것이‌중요

3. 산재성 혈관내 응고증(DIC)
1) 정의
비정상적으로‌가속화되는‌혈관내‌응고현상에‌의해‌응고인자들이‌소진되어‌지혈작용이‌정상적으로‌일어나지‌못하
고‌이‌때문에‌조절(지혈)되지‌않는‌출혈이‌발생하는‌증후군

2) 진단
(1)‌혈소판감소증:‌너무‌많이‌소비되어‌부족
(2)‌PT,‌aPTT‌연장
(3)‌피브리노겐‌저하,‌섬유소분해산물(FDP)‌증가





※ 부족하지만 글의 내용이 도움이 조금이라도 되셨다면, 단 1초만 부탁드려도 될까요? 로그인이 필요없는 하트♥(공감) 눌러서 블로그 운영에 힘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