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교육학과, 평생교육 관련 인력개발과 활용 요점 정리 58. 변화유형(2): 직무구조적 변화방법
58. 변화유형(2): 직무구조적 변화방법
1) 직무구조적 변화방법의 의의
(1) 목적
● 근로자의 직무만족도, 근무방법 등 개선
● 비효율적인 방법, 도구, 업무 흐름 설계도 등을 효율적인 기법으로 대체, 비용 절감
(2) 많은 조직들은 근로자들의 능률성과만족도 제고를 위해 기술구조적 변화방법 선호
(3) 가장 일반적인 기술구조적 조정 전략
● 직무확대, 직무충실화, 대안적 작업 스케쥴의 변화
2) 직무확대(Job Enlargement)
(1) 업무의 단조로움을 없애고 다양성 제공
(2) 근무집단의 수평적 작업기능들을 통합
(3) 근로자들의 만족도와 실행력 제고
(4) 근무의욕 상실자에게 도전적인 업무 부여
(5) 캠피온 등(Campion & McCelland)의 연구
● 사무직 근로자에게 직무확대를 적용한 결과 근로자만족도와 고객서비스에 긍정적 효과
● 정신적 부담 완화에는 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결론
3) 직무충실화(Job Enrichment)
(1) 근로자의 잠재력 증가를 위해 업무의 난이도 등을 다양화함으로써 동기부여
(2) Hackman & Oldman의 직무특성화 모델(Job Characterization Model : JCM):
(3) 직무충실화에 대한 가장 개발된 접근방법
(4) 직무의 5가지 핵심적 차원
● 기술적 다양성, 직무특성, 직무중요도, 자율성, 피드백
4) 작업 스케줄의 변화(Alternative Work Schedules : AWS)
(1) AWS의 정의
● 근로자들의 개인적 욕구충족을 위한 업무요건의 변경
(2) 가장 일반적 AWS 변화방법
● 집중근무제
- 주당 근무일수 단축
- 예) 4/40 스케쥴 – 5일에서 4일로 줄임
● 근무시간제의 자유 선택제
- 근로자들이 근무일 중에서 출퇴근시간을 유연성 있게 결정
- 육아 중인 여성근로자들의 경우 가족상황에 따라 근무시간 결정
- 자유 선택제 영향요인: 조직에 대한 충성도, 출근시간, 업무성과, 스트레스, 휴일만족도
- 자유 선택제의 효과는 업무태도에 가장 크게 나타남
5) 기술구조적 변화방법의 효과성
(1) 작업 스케쥴(AWS)과 직무 재설계는 산출물의 양과 질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
(2) 직무 재설계는 도피행동대책(계획적 결근)에 무효과, AWS 변화방법은 작지만 효과가 있음
(3) AWS는 태도에 있어서 직무 재설계보다 더 큰 효과가 큼
(4) 직무확대와 직무충실화 방법은 비슷한 변화수준, 생산성에 있어서 후자가 더 효과적임
(5) 전반적으로 기술구조적 방법은 개인변화보다 덜 효과적일 것